[경기도를 빛낸 역사인물] 구한말 대신 민영환

을사늑약에 죽음으로 항거

22.jpg
민영환(1861~1905)은 구한말 대신이다. 고종 15년(1878)에 문과에 급제했다. 이후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주미전권대사 등을 거쳤다.

1896년에는 특명 전권공사(외교관의 하나인 공사의 정식 명칭)로 임명되어 러시아·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 등을 방문했다. 서양의 근대적인 문물제도와 근대화한 모습을 보고 돌아온 뒤 독립협회를 적극 지원하면서 개혁을 시도했다. 하지만 친일 각료들과 대립각을 세우며 일본의 내정간섭을 비판했다.

 

일본이 을사조약(1905)을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자 의정대신 조병세 등과 함께 조약에 찬동한 을사오적의 처형과 조약의 파기를 요구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에 죽음으로 항거하기 위해 대한제국 백성들과 각국 공사, 그리고 고종 황제에게 고하는 세 통의 유서를 남기고 자택에서 자결했다. 이 유서는 그의 유품과 함께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보관 전시돼 있다.

 

민영환의 묘가 용인 마북근린공원 내 있다. 본래 수지구 풍덕천동 토월마을에 있었으나, 1942년에 후손들이 옮겼다. 봉분 뒤쪽에 사성(莎城)이라고 하는 높은 둔덕을 쌓고 그 위에 담을 설 치한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다. 용인시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