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언어학·문학·역사·법률·철학·고고학·예술사·비평·예술의 이론과 실천, 그리고 인간을 내용으로 하는 학문을 포함하고 있어, 인간의 삶과 지적 활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위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요즘처럼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는 중요 학문으로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 중요성 만큼, 인문학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인용 등으로 인문학의 존재 및 고유한 의미는 의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인문학이 무엇인지 정의내리고, 인문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담은 책이 출간됐다.
바로 가톨릭대학교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 연구소가 발간한 <인문콘텐츠와 대중매체> <지역 문화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소명출판 刊)이다.
먼저 <인문 콘텐츠와 대중매체>에는 대중매체 속의 인문학에 대해 다룬다.
‘언어와 다중매체’, 문학과 다중매체, 매체의 변환, 매체의 혼용과 플랫폼의 변화 등 총 4개의 주제를 통해 영상자막, 광고, 그림책, 만화, 웹툰, 게임 분석에서부터, 고전소설의 TV 드라마 및 콘텐츠 활용 방안, 문자매체에서 다른 매체로의 변화 등을 분석한다.
이지양, 송성욱 가톨릭대 교수와 강미선, 윤신원 박사 등이 연구한 프로그램 성격에 따른 TV영상자막의 분석, 대중매체 언어와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양상 및 의의 고찰, 각색영화 시청이 중학생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볼 수 있다.
<지역 문화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은 인문학적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단위의 독자성 혹은 개별성에 대해 진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연구소는 문화융성을 위해서는 여러 층위의 다양한 지역문화가 살아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 ‘지역문화콘텐츠’에 집중했고, 이를 활성화 하는 방편으로 ‘스토리텔링’에 초점을 맞췄다.
1부는 한국에서의 사례를 다루었고, 2부에서는 일본의 경우를 묶었다. 한국편에서는 역사와 문화 테마파크 개발을 위한 성공모델 설정과 히스토리핀을 활용한 전주한옥마을의 근현대 기억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안, 공간과 지역의 서사적 재현의 양상과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일본편에서는 장소 정체성의 획득을 위한 이미지 스토리텔링 사례와 대마도 지역의 지역정체성 재국축, 일본의 요괴전승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양상에 대해 소개한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