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육감은 11일 오전 경기도교육청에서 가진 월례 기자간담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특수목적고(외고), 자사고 폐지를 주장한 것은 올바른 교육관이라고 생각한다”면서 “폐지 공약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목고와 자사고는 그동안 학생들을 더 좋은 대학으로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해왔고, 그 과정에서 고교 계층화, 서열화, 경쟁을 부추겨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고교 평준화의 기본 원칙은 아이들이 구김살 없이 입시교육에 매이지 않고 원만하게 성숙,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면에서 자기 분야를 만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육감은 문재인 대통령이 교육개혁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할 과제로 ‘대입체제 개혁’을 꼽았다.
그는 “대입 문제는 땜질식으로, 부분적으로 고쳐야 할 문제가 아니다”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경쟁이 아닌 협동, 성적과 점수에 의한 것이 아닌 과정을 통한 성장 위주로 대입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육감은 또 “대입에서 대학의 자율성도 강화돼야 한다”며 “내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2021학년도 대입체제가 올해 7월 결정되는 만큼 시급히 (대입개혁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교육재정 악화와 보육 대란을 야기한 누리과정(3∼5세 무상보육)에 대해서는 “교육과 보육을 엄격히 구분하고, 보육에 관한 한 100% 국가책임으로 가야 한다”면서 “고교교육까지 무상교육으로 갈 때가 됐다”고 말했다.
김규태ㆍ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