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대통령이 10일 취임한 지 12일이 지났다. 변화의 조짐은 모든 뉴스와 소식들에서 시작되고 있다. 사실 한 동안 우리는 단지 누군가 ‘불편하거나 우려되는 문제’들을 실제로 느끼는 고통이나 명확한 진실보다 앞세우면서 살아왔다. 우리가 지나온 시간들이 비정상적이고 비상식적이었던 때문인지 그 반대의 모습들이 새삼 너무 낯설다. 우리들이 그 정도는 해 줄 수 있지 않아 하는 공감의 태도와 단어들을 대통령이 해주기만 한 걸로 마음이 너무도 푸근하다.
돌이켜보면 우리의 역사에서 무엇이든 쉽게 얻어지는 것은 없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번 정권은 지난 겨울 내 추위에도 지치지 않고 희망의 씨앗을 뿌리고 함께 공들여 키워온 시민들에게 큰 빚을 이미 지고 있는 셈이다. 정치가 참으로 우리들 일상에 영향을 주고 변화를 가져온다는 걸 느끼게 하는 한 주이기도 하다.
선거에서 이번 대통령을 선택하지 않은 분들도 생각보다 잘하네 하는 이들이 많다. 지난 시간 우리는 통합보다는 갈등 속에서 한 동안 과거로의 회귀가 사회 문화적 영역에서 일어났다. 그 속에서 지나온 시간들을 추억으로 공유하지 않는 이들에게는 너무도 낯선 상황들을 재현하기도 했다.
한 세대가 다른 세대에게 가치관과 관점들을 지나치게 강조할 때 받아들여야하는 세대는 이를 강요로 느낄 수밖에 없게 된다. 세대 간 갈등과 불협화음들은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더 증폭되기도 한다.
대통령은 그 세대를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 중 하나이다. 이번 대통령이 본인의 나이보다 젊은 층에게 호감과 공감을 받았던 것처럼 앞으로도 젊은 세대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는 사람이기를 희망해본다. 완벽하게 명석하고 토론의 달인은 아니라도 일반 시민들과 공감하고 마음을 어루만져줄 수 있는 대통령이 되어주기를 바래본다. 대통령이 닮고 싶은 롤 모델인 나라이고, 예전 아이들이 이 담에 대통령이나 장군이 되겠다고 장담하던 시절로 돌아가는 꿈을 꾸어본다.
송미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