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공릉천서 톨루엔·TPH 검출”

파주환경聯 “하천오염 큰 영향”
市 “수질 악화 구간 정밀 조사”

파주환경운동연합은 한국환경과학기술연구원에 의뢰, 공릉천 부유물을 분석한 결과, TPH(석유계총탄화수소)는 337mg/kg, 톨루엔은 19.2mg/kg 등이 검출됐다고 14일 밝혔다. TPH는 경유, 등유, 윤활유, 벙커유 등에서 주로 발견되는 성분이고 톨루엔은 휘발성 물질인 휘발유 계통에서 많이 나타나는 성분이다.

 

환경연합은 앞서 1차로 지난달 17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과학 공동기기원(NICEM)에 공릉천 봉일천교 아래 몰려 있는 까만 부유물 덩어리 포집을 의뢰, 이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분석을 맡겼다.

 

당시 분석 결과 다수의 알케인(사슬 모양의 탄화수소) 등 다양한 종류의 정제되지 않은 석유 성분들이 검출됐었다. 검출된 기름 성분은 흡인 유해성 구분 1등급, 급성 및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 1등급의 테트라데칸 등으로 생태환경은 물론 주민 건강에도 매우 해로운 성분으로 밝혀졌다.

 

이번 결과는 지난달 2차 포집, 한국환경과학기술연구원에 분석을 의뢰, 이뤄졌다.

김창희 한국환경과학기술연구원 대표는 “토양환경 보전법상 토양오염 공정시험기준 시험방법으로 TPH는 500mg/kg이 1지역(주거·공원·학교)이 우려 기준인데 하천 부유물(찌꺼기)에서 337mg/kg이 나타났다면 수생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톨루엔 역시 토양환경 보전법상 20mg/kg이 1지역 우려 기준인데 19.2mg/kg이면 하천 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정명희 파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이런 유해 성분들은 공릉천 주변 공장의 유해화학물질 저장소 등에서 정제가 되지 않은 채 유출됐거나 겨우내 쌓여 있던 오염물질이 날이 풀리면서 한꺼번에 쓸려왔을 가능성이 크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최근 하천퇴적물 준설비용(5억 원)을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요청, 장곡2~3리 지역 하수관로 정비 사업 조기 추진 비용(42억 원)을 한강유역환경청에 요청할 계획이다. 한강수계 도심하천 내 수질악화 구간 정밀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용역도 계획에 포함됐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