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1180572_1087329_1027.jpg
고(故) 김학순(1924~1997) 할머니는 대한민국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처음으로 증언한 인물이다. 잊고 싶고, 숨기고 싶은 과거였겠지만 김 할머니는 당당히 역사의 증언대에 섰다. 1990년 6월 일본이 ‘일본군은 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발표하자 이에 격분해 위안부 피해 사실을 폭로하게 된 것이다. 1991년 8월14일, 김 할머니는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군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했다.

김학순 할머니는 베이징에서 일본군에게 끌려가 성노예 생활을 했다. 다행히 4개월 만에 빠져나왔고, 그때 탈출을 도왔던 평양 출신 조선인과 결혼해 딸, 아들을 낳았다. 한국전쟁 때 남편을 잃었고, 나중에 아들도 잃었다. 서울 종로구의 판잣집에서 궂은일을 하며 어렵게 생활하던 김 할머니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을 부정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일본의 파렴치한 행태에 화가 나 ‘위안부 범죄’ 폭로를 결심했다. 그의 용기 있는 고백으로 국내 위안부 생존자들의 피해 증언이 이어졌고, 은폐됐던 위안부 문제가 세계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됐다. 이후 김 할머니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일 열리는 항의집회에 빠짐없이 참가하는 등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보상을 촉구했고, 1991년 12월 일본 도쿄지방법원에 출석해 피해 사실을 증언하는 등 국제사회 문제로 확대하는데 여생을 바쳤다.

2012년 12월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는 김 할머니의 최초 증언일인 8월14일을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로 지정했다. 세계 각지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한 날이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수요집회를 한 지 25주년을 맞았고, 식민지에서 해방된 지 72주년이다. 그러나 아직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진정한 해방은 오지 않았다. 범죄자들은 처벌받지 않았고, 법적 책임도 부인하고 있다. 망언과 역사왜곡으로 역사의 진실을 축소, 은폐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진실을 요구하며 일본정부의 공식 사죄를 기다리고 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얼마전 8월14일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기림일’로 지정하고 추모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위안부 문제가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 이슈가 됐는데, 그동안 우리 정부는 한일관계 냉각을 우려해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픔을 외면한 채 소극적으로 대응해 온 것이 사실이다.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역할을 기대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