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이면 9천900㎡에… 농약 뿌리는 드론, 파주 하늘을 날고 싶다

고령화·일손 부족 농촌 ‘효자’ 비행금지구역 탓에 날개 꺾여
농민들 軍에 비행 허가 요청

1.jpg
파주지역 농업인들이 일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비행금지구역 내 농업용 방제 드론 비행 허가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 지역 농업인들은 16일 오후 탄현농협 주관으로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일원 6천600여 ㎡에서 열린 농업용 방제 드론 시연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시는 지난해 말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아울렛으로부터 농업용 방제 드론 2대를 기증받아 탄현농협에 운영권을 넘겨줬다. 기증된 농업용 방제 드론은 1대 당 2천500만 원의 고가 장비로, 2대를 모두 활용하면 15분 만에 9천900여㎡에 살포제를 뿌릴 수 있다.

 

하지만 파주 농촌지역의 경우, 군사보호구역에 따른 비행금지구역으로 분류된 곳들이 많아 농업용 방제 드론을 띄울 수 없는 실정이다. 지난 1963년 처음 설정된 비행금지구역은 국가 안보 등의 이유로 항공기 출입 자체가 금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농업인들은 농업용 방제 드론을 활용하고자 군부대 측에 비행 허가를 요구하고 있지만, 군부대 측은 군사보호구역 내 비행금지구역으로 묶여 있어 군사 보안에 문제가 될 수 있다며 불허하고 있다.

 

농업인들은 이날 파주시와 탄현농협, 육군 제9보병사단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시연회를 통해 국가 보안상 문제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군부대 측에 전달했다. 또 농업인들은 방제 작업 시 군부대 관계자가 동석, 감시하는 방안을 추진해서라도 농업용 방제 드론 비행을 허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윤회 탄현면장은 “이번 시연회를 계기로 군부대 측이 농업용 방제 드론 활용방안을 강구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부대 관계자는 “비행금지구역 내 농업용 방제 드론 비행도 국방부 승인 시 가능하다”며 “군사 보안의 안전성이 담보되는 부분적인 통제 범위를 고려한 후 상급 기관에 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양=김상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