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군부대 방어선 60년만에 조정 전망

수도군단, 변경계획 합참에 보고
김포 균형 발전 발목 해소 기대

김포 한강신도시 인근 660여 만㎡ 규모를 신도시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가운데 김포지역 균형 발전을 가로막아 왔던 군부대 방어선이 60년 만에 조정될 전망이다.

 

21일 김포시에 따르면 수도군단과 제3야전군사령부가 국방개혁의 하나로 김포 중부지역 허리를 관통하는 육군 제17보병사단이 맡은 방어선 변경계획을 최근 합동참모부에 보고했다.

현 방어선은 한국전쟁 이후 그어져 전시상황에 따라 작전거점으로 운용돼 지난 2003년 1천586만7천768㎡ 규모로 계획됐던 한강 신도시개발계획이 지금의 규모로 축소된 것도 이 방어선 때문이다.

 

이 변경안은 현재 운유산(장기동)에서 양촌읍 석모리를 거쳐 누산리까지 이어진 방어선(찰리)을 북쪽으로 전진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합참 협의를 거쳐 국방부가 변경안을 최종 승인하면 60여 년 만에 김포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앞서 시는 한강신도시개발계획에 포함됐다 면적 축소로 신도시 사업부지에서 제척된 누산지구(해평마을) 주민들 민원에 따라 지난 2015년부터 경기도가 추진하는 군관정책협의회 안건으로 누산지구 도시개발사업 군사협의를 요청, 군과 협의를 벌여 왔었다. 이 마을 주민들은 한국전쟁 이후 마을 주민 개인 사유지에 설치된 군 시설물로 건물 개보수마저 어려워 재산권 침해를 받고 있다며 지난 2014년부터 수십 차례 민원 제기와 군부대 시설물 이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여 왔었다.

 

요지부동이었던 군의 방어선 변경계획이 추진되면서 마을 주민들이 추진 중인 공동주택건설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방부가 최종 방어선 변경안을 최종 승인하더라도 새로운 방어선 구축에 필요한 군부대 시설물 설치비 부담 등을 놓고 방어선을 담당하는 육군 제17보병사단과 협의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아 방어선이 이전되기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일로 최근 신도시가 확대된다는 소문이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최종적으로 방어선 이전계획이 승인돼도 국토부 등 관련 부처 간 협의를 통한 사업성 등이 우선으로 고려돼야 확대 여부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방어선 이전에 따른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나 위탁 등의 문제도 최종 승인 후 정부부처 협의를 거쳐 고시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