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상장사 ‘계약직 기간제 근로자’ 소폭 증가

6월말 기준 2만8천473명… 작년比 0.6%↑

10대 그룹 상장사에서 계약직 기간제 근로자가 1년 전보다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협ㆍGS그룹은 5명 중 1명꼴로 기간제 근로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계약직 기간제 근로자는 기간을 정해놓고 일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4일 재벌닷컴이 자산 상위 10대 그룹 소속 상장사들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의 ‘직원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수는 2만 8천47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8천310명보다 163명(0.6%)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전체 직원 수는 61만 9천590명에서 62만 2천274명으로 2천684명(0.4%)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1년 전 4.57%에서 4.58%로 0.01%p 높아졌다. 조사대상 10대 그룹 가운데서는 농협그룹과 GS그룹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농협그룹 3개 상장사의 기간제 근로자는 1년 전과 같은 702명인데, 전체 직원이 감소하면서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18.29%에서 18.88%로 높아졌다. GS그룹(6개사)의 기간제 근로자는 3천667명으로 1년 전보다 121.3%(2천10명)나 늘어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1년 새 9.86%에서 18.48%로 급상승했다. 이는 소속 상장사인 GS건설이 올해부터 현장채용 계약직을 기간제 근로자에 포함했고, GS리테일이 기간제 근로자가 많은 비상장 계열사 왓슨스코리아를 합병했기 때문이다. 

LG그룹(11개사)과 SK그룹(17개사)도 기간제 근로자가 증가하면서 비율이 각각 1.19%p, 0.21%p 상승했다. 이와 반대로 삼성그룹, 현대차그룹, 롯데그룹, 포스코그룹, 한화그룹, 현대중공업그룹 등 6곳은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낮아졌다.

 

삼성그룹(16개사)의 기간제 근로자는 올해 5천705명으로 1년 전보다 15.1%(1천12명) 줄어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3.62%에서 3.08%로 감소했다. 현대자동차 기간제 근로자는 2천900명으로 1년 전보다 17.9%(634명) 감소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