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조만간 사드 발사대 4기 임시배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美측 보완 공사 허용

환경부의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에 대해 ‘조건부 동의’가 결정됨에 따라 조만간 발사대 4기 등이 추가 배치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4일 “환경부와 주한미군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부지에 대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완료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방부는 “이미 정부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이미 배치된 일부 장비의 임시 운용을 위한 미측의 보완공사를 허용할 것”이라며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간 협의를 통해 잔여 발사대 4기를 조만간 임시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날 국방부가 주한미군에 1차로 공여한 사드 부지 중 약 8만㎡의 사업 면적에 대해 진행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에 대해 ‘조건부 동의’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이 부지에서 콘크리트 공사 등을 할 수 있게 됐다.

 

환경부는 지역주민이 가장 우려하는 전자파와 관련해 국방부의 실측자료, 괌과 일본 사드 기지의 문헌자료 등을 검토한 결과, 인체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이미 정부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기배치된 일부 장비의 임시 운용을 위한 미측의 보완 공사를 허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경북 왜관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캐럴’에 보관 중인 발사대 4기를 사드 기지에 반입하기 적어도 하루 전에는 현지 주민들에게 공지할 방침이다.

이번에 사드 기지에 들어가는 것은 발사대 4기 외에 포크레인과 자갈 등 주로 공사에 쓰일 중장비와 자재 등이다.

 

국방부는 주한미군에 2차로 공여할 부지를 포함한 약 70만㎡ 부지를 대상으로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한 다음, 사드의 최종 배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반 환경영향평가에는 약 1년 정도 걸린다.

사드 발사대를 포함한 장비 운용을 위한 공사와 탄약 저장고 등 시설 공사도 일반 환경영향평가가 끝난 다음 본격적으로 할 예정이라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국방부는 “정부는 민주적·절차적 정당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측에 공여하기로 한 전체 부지에 대한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철저하고 엄정하게 시행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해 사드 체계의 최종 배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