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20여명 상주하며 농사일 식용 귀뚜라미 등 30여종 생산
수익금 사회복귀 자활자금 활용
13일 오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가나안 자활 시범농장’에서 만난 김도진 목사(80ㆍ가나안교회)는 나이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건강했다. 목소리는 우렁찼고 몸은 운동선수처럼 다부졌다.
농장이름에서 연상되듯 김 목사가 운영하는 농장은 다양한 이유로 한때 노숙을 업으로 살았던 40~60대들이 함께 모여 농사를 하며 자활을 꿈꾸는 쉼터다. 현재 김 목사와 함께 이곳에서 상주해 농사짓는 노숙인들은 20여 명으로 한때 실패해 노숙을 전전하다가 소문을 듣고 이곳을 찾아 사회를 다시 배우고 있다.
약 2만7천438㎡ 규모의 농장에는 식용 귀뚜라미, 아로니아 등 30여 종의 농축산물이 생산된다. 특히 식용 귀뚜라미를 330㎡ 규모로 집중사육하는데 농장의 주된 수입원 때문이라고 한다. 양봉도 80여 통, 도라지도 9천917㎡ 규모로 재배한다.
김 목사는 생산되는 농축산물을 서울 등 전국에 판매, 노숙인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자활자금으로 활용한다. 그는 “상당기간 실의에 빠졌다가도 이곳에서 자활을 통해 의지를 회복하면 사회 재도전을 하는 데 성공하기도 하지만 때론 실패한다. 이런 친구들은 그때 다시 이곳으로 와 인생을 배워 다시 세상에 도전한다”고 소개했다.
김 목사가 이처럼 농장을 조성해 노숙인들의 자활을 돕는 일을 사명으로 여기는 것은 고향인 지리산자락 경남 함안에서 동네에서 잘나가는 말썽꾸러기로 살다가 서울로 가출, 험하게 살던 젊을 적 아픈 경험 때문이다.
그는 “60년 전 군에서 제대 후 할 게 없었다. 동네서 싸움만 일삼다가 부모 몰래 서울로 도망쳤다. 청량리 등지에서 중년까지 건달 등 생활을 하다 교회 다니는 아내와 우연히 만나, 결혼을 생각하며 마음을 바꿨다”고 말했다. 이후 신학교를 졸업한 데 이어 목사길을 걸으며 서울 청량리에 가나안교회를 설립, 노숙인 등 사회부적응자들과 함께하고 있다.
당시 건달, 몸 파는 젊은 여성들을 무조건 교회로 데리고 와 김 목사 자신의 불행한 과거를 얘기하며 함께 울고 인생 재도전을 역설해 이들 중 상당수가 아픈 삶을 버리고 사회에 복귀했다. 30여 년 목회기간 이 같은 일을 반복하고 또 반복했다.
이런 김 목사의 도움으로 당당히 사회에 복귀한 노숙인 등은 어림잡아 7천여 명에 이른다. 그래서 김 목사가 ‘노숙인의 대부’라고 불리는 이유다. 그러다가 2013년 아는 지인의 소개로 파주에 자활농장을 임대해 만들었다. 김 목사가 “소외계층에 돈을 건네기보다 일자리를 만들어 자활을 돕는 것이 진정한 생산적인 복지”라고 믿어서다.
김도진 목사는 “ 3ㆍ1만세 운동을 하다가 옥사하신 할아버지 등 자부심을 한때 먹칠을 했지만 소외된 사람들을 사회인으로 만드는 것이 속죄하는 것으로 생각, 죽은 날까지 이 일을 계속 하겠다”고 다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