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경기農業 에피소드 3

김동수 경제부장 dskim@kyeonggi.com
기자페이지

새 정부의 화두는 단연 ‘청년 일자리’다. 더불어 최근 남경필 경기지사의 관심사도 청년정책으로 대변되고 있다. 금번 경기도 2017년도 추경예산안을 둘러싸고 집행부와 의회가 갈등을 겪었던 것도 청년예산이다. 바야흐로 청년문제는 중앙뿐 아니라 경기도의 최대 현안이 되고 있다. 

필자는 지난번 글을 통해 ‘청년농부’의 현실을 꼬집으며 몇몇 현안을 지적했다. 그동안 경기농정은 청년농부에 대해 그리 녹록한 편은 아니었다. 이는 곧 농정에 대한 남 지사의 인식에 비롯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남 지사가 최근 청년문제를 전면에 내세우며 청년농부에 대해 관심을 드러냈다. 늦었지만 그나마 다행이다.

 

남 지사는 경기도의회 322회 임시회 중 도정 질의 답변을 통해 청년농부에 대해 처음 언급했다. 원대식ㆍ염동식 의원이 경기농정의 현안을 캐묻자 청년농부 문제를 꺼냈다. 그는 “4차 산업혁명도 사람이 하는 것인 만큼, 젊은 인재들이 농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청년농부 대책을 세워야 하겠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한발 더 나아가 그 해법을 찾는데 집행부와 도의회가 머리를 맞대자고까지 제안했다.

 

그동안 먼 산 보듯 했던 경기도 행정수장이 청년농부로 농업을 이야기한 것이다. 자의든 타의든 도의회 의사당에서 그의 입을 통해 청년농부가 언급됐다는데 의미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청년농부에 대한 문제는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경기도 농업인 수는 31만1천명으로 전국의 12.2%다. 이를 연령대별로 분류하면 65세 이상자는 12만5천명으로 40.2%를 차지한 반면 29세 미만은 1천597명으로 0.7% 수준이다. 

이게 경기도 청년농부의 현주소다. 이래 놓고 어찌 미래먹거리 산업을 경기도가 담당할 수 있겠는가?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가 있다. 경기도 농업예산은 일반회계대비 3%를 넘어선 7천여억원대다. 이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농업직은 60여 명 안팎이고 사실상 실질적 수장은 4급 서기관에 그치고 있다. 

여기에다 예산과 기획 등 주요 부서에는 단 한 명의 농업직도 찾아볼 수 없다. 농업이 완전 별동대로 분리돼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농업을 따로 떼내 경기도농업기술원과 통합하자는 얘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경기농정이 제대로 도정에 투영될 수 없는 이유다.

김동수 경제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