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덕제 감독, ‘내가 나가야 팀 산다’
한국당 ‘나가라’-朴측 ‘못 나간다’
축구보다 못한 정치에 국민 창피해
하지만,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혼자 구단 사무국을 찾았다. 부천FC에 져 5연패에 빠진 다음 날이었다. 품고 온 사직서를 냈다. 구단이 발칵 뒤집혔다. 긴급 이사회가 열렸다. 마음을 바꾸라는 권유가 이어졌다. 하지만, 한 번 굳힌 의사를 번복하지 않았다. 되레 이사들을 설득했다. “지금 그만두어야 한다. 5연패에 빠진 지금이 팀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8월 말, 수원FC 조덕제 감독은 그렇게 떠났다.
2015년 가을, 수원FC가 기적을 만들었다. 축구 협회장이 소속된 대기업 팀과 승강전을 벌였다. 선수들은 지칠 줄 모르고 뛰었고 1차전을 이겼다. 감동은 부산 원정 경기로 이어졌다. 시민 600명이 버스로 따라갔다. 언론은 그의 축구를 ‘막공’(막아낼 수 없는 공격)이라고 썼다. 1부 리그 승격! 그 감동의 중심에 있었던 조 감독이다. 팀이 다시 2부리그로 강등됐다. 그러자 조 감독이 ‘내가 떠나야 팀이 산다’며 떠났다.
하필 비슷한 시기에, 전혀 비슷하지 않은 사퇴 논란이 등장했다. 한국당 혁신위가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떠나달라고 했다. 친박 좌장들도 포함시켰다. 쫓아내는 것이다. 박 전 대통령 측은 ‘무슨 할 말이 있겠느냐’고 한다. ‘떠나지 않겠다’는 말의 에두른 표현이다. 친박 쪽도 조용하다. 그 속에서 폭발 직전의 분노가 보인다. 점잖음을 생략하고 적어보면 이렇다. ‘우리라도 살도록 떠나라’-‘못 떠나겠으니 맘대로 해라’.
이유가 있을 게다. 서로 다른 대망론이다. 출당론 쪽에 ‘홍준표 대망론’이 있다. 지난 대선은 몸 풀기였다는 그다. 친박이 눈엣가시일 게다. 바른정당과의 합당도 중요 과제다. 박 전 대통령 출당이 합당의 기본 조건이다. 반대쪽에도 대망론은 있다. 이른바 재판 대망론이다. 박 전 대통령의 판결이 가져올 대역전을 기대한다. 전부 무죄면 세상은 뒤집어진다고 확신한다. 부분 무죄로도 상황은 달라질 거라 믿는다.
이런 와중에 흘려진 한 여론조사가 있다. 국민 60%가 박 전 대통령의 탈당을 찬성한다는 통계다. 그러니 탈당하라는 얘기다. 그런데 이게 좀 그렇다. 질문을 잘 못 던진 듯하다. ‘한국당의 탈당 논란을 어떻게 보느냐’고 묻는 게 옳다. 틀림없이 이런 답변들이 나올 게다. ‘부질없는 싸움이다’ ‘볼썽사납다’ ‘이전투구다’…. 말장난이 아니다. 지금 인터넷 댓글이 그렇게 도배돼 있고, 술자리 대화가 그렇게 오가고 있다.
이쯤에서 생각나는-그러나 많은 국민이 차마 입 밖으로 내지 못하는- 과거가 있다. 전 대통령, 노무현의 자살이다. 검찰 조사를 받으며 모든 걸 잃었다. 그러자 ‘나는 더 이상 진보의 가치가 아니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스스로 목숨을 버렸다. 그런데 그가 부활했고 진보도 살아났다. ‘모든 걸 버려야 모든 걸 얻는다’는 평범한 진리를 입증한 역사다. 그때처럼 부활을 꿈꾸고 있을 한국당이다. 그런데 달라도 너무 다르다.
축구 감독과 전직 대통령을 비교했다. ‘깜’도 안 됨을 잘 안다. 그런데 자꾸 겹친다. 감독은 ‘책임지겠다’며 물러났다. 구단이 ‘다시 생각하라’며 만류했다. 그런 감독과 구단을 보며 팬들은 행복해졌다. 전 대통령은 ‘나가지 않겠다’며 버티고 있다. 정당이 ‘책임을 통감하라’며 내쫓으려 한다. 그런 전직 대통령과 정당을 보며 국민은 부끄러워진다. 지금 박 전 대통령과 한국당은 조 감독보다 못하고 수원구단보다 못하다.
정답? 있다. 국민이 다 아는 정답이 있다. 한국당은 ‘나가라’는 압박을 접어야 하고, 전(前) 대통령은 ‘안 나간다’는 고집을 버려야 한다.
김종구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