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新남방정책… 文 대통령 ‘균형외교’ 시험대

실질적인 한중 관계 복원… 북핵 해법 ‘모멘텀’ 구축 기대
4강 외교 벗어나 아세안과 협력 강화·경제영토 확장 추진

대화하는 文 대통령•추미애 대표 문재인 대통령이 인도네시아 국빈방문 및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 EAS(동아시아정상회의) 정상회의에 참석차 8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니 도착… 환영받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후(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에 도착해 환영나온 인사들에게 영접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7박8일 동남아 순방에서 신(新)남방정책을 천명하지만 최대 관심사는 10ㆍ11일 이틀 동안 베트남 다낭 아·태 경제협력체(APEC) 기간 열리는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다. 지난달 31일 한·중 양국이 사드 갈등을 봉합하며 합의문을 발표한 후 첫 만남이다. 

사드배치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중국과는 시 주석과 리커창 총리와의 연쇄회담을 통해 관계복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 자리는 문 대통령이 추구하는 ‘균형외교’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한중 정상회담, 북핵 포기…중국 역할 요청

무엇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기간중 관계개선을 선언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실질적인 한중관계 복원과 북핵문제 해법의 모멘텀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순방 직전 국빈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한반도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낸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시 주석에게도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압박과 대화의 문을 동시에 열어 둔 우리의 자주적 노력에 대한 성원도 당부할 것이란 관측이다.

 

또 지난 합의문 발표를 계기로 양국 간 교역과 경제협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자고 제안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의 호응도에 따라 문 대통령의 균형외교에 대한 평가도 갈릴 것이란 분석이다.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지난 10월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가 마무리된 이후 다소 해빙무드에 들어서고 있는 한중관계를 본궤도에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목 없음-2 사본.jpg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 제시

문 대통령은 다른 APEC 정상들에도 북핵을 포함한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설명하고, 역내 컨센서스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11일 APEC 리트리트 세션1에서 다뤄질 ‘디지털 시대의 혁신 성장, 포용성 및 지속 가능한 고용’ 주제 토의에선 ‘사람 중심 지속성장’ 전략을 소개하며 APEC 차원에서의 포용성과 혁신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동남아 국가들과 실질적 협력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균형외교 핵심, ‘신남방정책’

이번 순방의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지역 공동체 기구인 아세안(ASEAN)을 향한 문 대통령의 신남방정책이다. 신남방정책은 제2교역대상국이자 투자대상국인 아세안 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해 한반도 경제영토를 확장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기존 주변 ‘4강(미·일·중·러)’ 중심 외교에서 탈피해, 경제·군사적 중요성이 커지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를 격상시킨다는 것이 골자다. 이 지역에 걸린 미·중의 거대한 이해관계를 감안하면 균형외교 추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 대통령은 첫 방문국인 인도네시아에서 9일 열리는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포럼에서 신 남방정책을 전격 공개한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