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인구절벽과 교육개혁의 상관관계

▲
6·25가 끝나고 전쟁의 상흔이 점차 회복되면서 출산율이 높아져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시기가 있었다. 당시 먹고사는 문제와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인식이 팽배해서 산아제한이라는 정책이 펼쳐졌다.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둘도 많다, 삼천리는 초만원”이라는 캠페인을 베이비붐 세대는 피부로 겪어 왔다. 그러나 불과 반세기 만에 역전이 되고 있다. 이제는 “동생이 보고 싶어요”, “하나의 촛불보다는 여러 개의 촛불이 더 밝아요”라는 출산장려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 됐다.

 

결혼과 출산기피로 인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북핵보다 더 무섭다는 인구절벽이란 말은 미국의 경제학자인 해리 덴트가 2014년 처음 제기한 개념으로,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율이 전체 인구에서 급속도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해리 덴트는 한국은 2018년부터 인구절벽에 직면해 경제 불황을 겪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 해결방안으로 출산과 육아를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에코 붐 세대의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주된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의 가중이라 할 수 있다. 과거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방문하여 “한국의 발전은 학부모들의 교육열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극찬했듯이 세계 최고의 교육 열정에 걸맞은 교육비 부담 걱정 때문에 출산을 기피하고 있어서 교육개혁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크다.

 

교육개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부터라도 백년지대계에 걸맞은 교육개혁을 통해 출산율 증가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육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개혁 6대 과제는 과거의 재탕 흔적도 보이나, 그나마 자유학기제 확산과 맞물린 공교육 정상화를 최우선 개혁과제로 삼아 대학 선호에 대한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으로 인구절벽과의 상관관계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 교육과 취업 위주의 대학교육의 개혁으로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인구절벽에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도 학문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미국이나 유럽같이 생활 중심의 교육으로 개혁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최무영 천사운동본부중앙회 본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