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국제사회가 단합하여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안보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마닐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토대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구축을 위해 아세안+3 회원국들이 적극적 역할을 지속해 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 아세안+3 협력이 출범 20주년을 맞이해 역내 구성원들의 삶을 지키고 돌보는 동아시아 공동체 실현을 위해 한 차원 더 성숙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분야별 협력 강화는 궁극적으로 아세안 연계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공동체의 중심은 결국 사람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기술직업교육훈련 등 인적자원 개발 및 교류 확대를 목표로 동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진정한 동아시아 공동체는 학계 및 재계, 시민사회와의 폭넓은 소통, 한·일·중 3국과 아세안간의 지리적 경계 없는 유대감 속에서 실현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한국이 올해 동아시아 싱크탱크 네트워크(NEAT) 의장국으로서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민간부문과의 협력 채널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아세안 중심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한·중·일 3국과 아세안간 상호 선순환적인 협력을 통해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에 기여할 수 있도록 3국 협력 정상화를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회의에 참석한 아세안 10개국과 일본, 중국 정상은 지금까지의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협력 방향을 제시하는 ’아세안+3 20주년 기념 마닐라 선언‘채택을 환영했다.
또 제2기 동아시아 비전그룹 권고사항의 충실한 이행 등을 통한 2020년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 건설 추진에 대한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정상들은 특히 북핵 문제 관련, 참석 정상들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면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가 계속 협력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