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빈 방문 文 대통령 “난징대학살 추모… 동병상련 마음”

‘역사적 유대감’ 강조… 노영민 대사 영접 대신 추모식장 보내
사드 갈등 확실한 매듭… 새로운 한중 관계 모색 강한 의지

중국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베이징에서 열린 재중국 한국인 간담회에서 “우리 한국인들은 중국인들이 겪은 고통스러운 사건(난징대학살)에 깊은 동질감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난징대학살은 ‘중국판 홀로코스트’로 불리며, 중일전쟁 당시인 1937년 12월13일부터 이듬해 1월까지 국민당 정부 수도였던 난징시에서 30만 명 이상(중국 측 추정)의 중국인이 일본군 총칼에 처참하게 숨졌던 사건이다. 희생자 추모일은 80년 전 일본의 난징대학살이 시작된 날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중국 베이징에 있는 소피텔 호텔 내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재중 한국인 오찬간담회에서 “오늘은 난징대학살 80주년 추모일이다. 우리 한국인들은 중국인들이 겪은 이 고통스러운 사건에 깊은 동질감을 갖고 있다”며 “저와 한국인들은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아픔을 간직한 많은 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두 나라는 제국주의에 의한 고난도 함께 겪었고 함께 항일투쟁을 벌이며 어려운 시기를 함께 헤쳐 왔다”면서 “중국 곳곳에는 우리 애국선열들의 혼과 숨결이 남아 있고, 만리타향에서도 역경에 굴하지 않았던 숭고한 애국심의 바탕에는 불의와 억압에 맞서는 인간의 위대함이 있었다. 동지가 되어준 중국 인민들의 우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저와 한국인들은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아픔을 간직한 많은 분께 위로 말씀을 드린다”고 공감했다.

 

문 대통령의 언급은 우선 난징대학살에 대한 전(全) 국민적 추모 분위기가 조성된 중국을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로 4회를 맞는 난징대학살 국가추모일 기념식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물론 리커창 총리와 장더장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위정성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등 중국 최고위 지도부가 대거 참석했다. 특히 시 주석은 첫 추모일 행사를 가졌던 2014년에 이어 3년 만에 다시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당초 국빈 방한에 맞춰 공항 영접을 나오기로 했던 노영민 주중 대사로부터 난징 행사장에 상하이 총영사 등이 참석한다는 보고를 받고 “대사가 대통령 영접하러 공항에 나오는 것도 중요한데, 그것보단 이 나라의 중요한 국가적 행사라고 하니 대사가 직접 참석해서 뜻을 기리는 게 좋겠다”고 지시해 노 대사는 공항영접 행사에 오지 않고 난징 행사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시 주석과 3번째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시 주석과 더욱 깊은 신뢰와 우의를 쌓고 한중간 역사적 유대감을 부각시켜 양국 간 갈등 현안인 사드 문제를 확실히 매듭짓고 새로운 한중관계 발전을 꾀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도 해석된다.

아울러 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 등 일본과 과거사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과 공조를 펴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도 해석된다.

현재 일본은 우리 정부가 위안부 합의 2년이 되는 오는 28일을 전후해 도출될 위안부 합의 태스크포스(TF) 논의결과 발표를 보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석 여부를 결정하겠다며 압박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문 대통령이 중국과 항일 역사문제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통해 일본에 역사 문제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