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이 매달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정작 중소·중견기업과 일부 산업의 기술인력 부족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을 구해도 신입 기술인력 3명 중 2명이 1년 안에 퇴사하는 등 이탈 현상도 심각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 1만2천129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19일 발표한 ‘2017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산업기술인력은 총 161만7천53명, 지난해 기업이 구하지 못한 부족인원은 3만6천271명으로 조사됐다. 부족률은 2.2%로 전년보다 0.1%p 하락했다.
경기지역은 산업기술인력이 총 46만4천202명으로 전체의 28.7%를 차지했다. 산업기술 인력 부족인원은 1만635명, 부족률 2.2%로 전국 평균 순준이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을 갖고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생산·정보통신 업무 관련 관리자, 기업 임원으로 근무하는 인력을 의미한다.
산업별로 보면, 소프트웨어의 인력 부족률이 4.0%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바이오·헬스(3.5%), 화학(3.5%), 기계(2.7%) 등의 부족률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직무수행을 위한 자질, 근로조건에 맞는 인력 부족’(31.6%)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인력의 잦은 이직이나 퇴직’(23.7%), ‘경기변동에 따른 인력수요 변동’(18.1%), ‘사업체의 사업 확대로 인한 인력수요 증가(12.1%)’, ‘해당 직무의 전공자나 경력직 미공급’(6.8%) 순으로 나왔다.
연령별로는 산업기술인력 현원 중 50세 이상 장년층의 비중이 전년 대비 12.7% 증가한 16.3%로 가장 높았다. 40대는 4.1% 증가한 34.4%로 집계됐다. 반면 20대는 전년 대비 2.2% 감소한 14.0%, 30대는 4.0% 감소한 35.3%로 나타나 산업기술인력의 고령화 현상이 점차 심화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전체 부족인원의 95.7%는 중소ㆍ중견 규모 사업체에서 발생했다. 중소ㆍ중견 규모 사업체의 부족률은 2.9%로 대규모 사업체(0.4%)의 7.3배에 달했다. 기술인력의 조기 퇴사율은 40%로 열 명 중 네 명 이상이 1년도 근무를 하지 않고 회사를 떠났다.
이 중 경력자의 조기 퇴사율이 13.3%인 것에 비해 신입자의 조기 퇴사율은 66.6%로 나타나 기업체가 어렵게 사람을 구해도 기술인력을 붙잡아 두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부 관계자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