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갈매 역세권 사업 원점 재검토하라”

LH와 공공주택지구 공동개발 방침에 대책위 반발

구리시가 갈매 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지정 사업을 LH 등과 공동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 방침을 밝힌 가운데, 갈매 주민대책위원회(대책위)가 성명을 내고 반박에 나섰다.

 

대책위는 28일 갈매 역세권 개발에 대한 주민 성명서를 통해 “용역 보고서에 LH와 공동 개발을 제안했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는 사실로 주민들을 속이기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다. 

시는 지난 7월 구리도시공사(공사) 용역보고서를 근거로 LH와 공동 개발을 제시했다고 했다. 그러나 용역보고서는 7만3천평 규모의 갈매역세권개발 사업성 타당성 보고서로 지금의 개발방식과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안으로 제시한 사노동을 포함한 개발방식 역시 하나의 검토사항으로 제시하고 있을 뿐, 개발방식 어디에도 공공임대아파트를 지어 역세권을 콘크리트 박스로 만들라는 문구는 없다”며 “개발 주체가 공사에서 LH로 바뀌었는데 상업지구 중심이 아니다. 임대주택 건설로 완전히 다른 사업을 어떻게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덧붙였다.

 

특히 대책위는 “공공임대주택개발은 가장 사업성이 떨어지는 모델로 대책위 입장에선 헐값 보상을 피할 수 없다”며 “상업시설 중심의 역세권 개발과 정부의 공약사업인 도시 재생 모델이 어우러진 개발로 가는 동시에 별내ㆍ갈매ㆍ다산지구로 교통지옥이 예상되는 만큼 광역교통체계 수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춘성 대책위원장은 “주민이 반대하는 공공임대아파트 개발을 철회하고 원점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시가 직접 나서 난개발을 막을 방법을 제시하고 대책위를 비롯해 전문가를 초빙해 정책토론회를 열라”고 말했다.

구리=하지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