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김정은 평창올림픽 참가 의사 환영”

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의사를 시사해 남북관계 회복에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1일 조선중앙TV를 통해 발표한 육성 신년사에서 “새해는 (북한) 공화국 창건 70돌이며, 남조선에서는 겨울철 올림픽 대회가 열리는 것으로 북과 남에 다 같이 의의 있는 해”라며 “남조선에서 열리는 겨울철 올림픽 대회는 민족의 위상을 과시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성과적 개최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김 위원장은 “무엇보다 북남 사이의 첨예한 군사적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적 환경부터 마련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전쟁도 아니고 평화도 아닌 불안정한 정세가 지속되는 속에서는 북과 남이 예정된 행사들을 성과적으로 보장할 수 없는 것은 물론 서로 마주앉아 관계개선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할 수도, 통일을 향해 곧바로 나갈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대남 유화메시지는 문 대통령이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에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연기하는 검토안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지 열흘 만에 나온 것이어서 더욱 눈길을 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이날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표단을 참가시킬 용의가 있다는 신년사와 관련, “환영한다”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오늘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평창올림픽 대표단 파견 용의를 밝히고 이를 위한 남북관계 만남을 제의한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평창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평화, 화합에 기여할 것”이라며 “청와대는 그간 남북관계 복원과 한반도 평화와 관련된 사안이라면 시기·장소·형식에 관련 없이 북한과 대화 의사가 있음을 표시해 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한편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로서 남북이 책임 있는 위치에 앉아 남북관계 해법을 찾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평창올림픽을 북핵 문제의 돌파구로 삼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평창 구상’이 힘을 받게 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12월 19일 올림픽 주관방송사 미국 N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한·미 양국은 평창올림픽 기간에 합동군사훈련을 연기하는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면서 “나는 미국 측에 그런 제안을 했고, 미국 측에서도 지금 검토하고 있다. 이것은 오로지 북한에 달려있는 문제라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