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제협력단지·교류거점도시 등 문산중생활권에 구체적 방안 마련
시의회·시민단체 한 목소리로 환영
통일을 준비하는 파주시의 ‘2030 파주도시기본계획’이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은 가운데 (본보 지난해 12월28일자 12면) 시가 문산중생활권에 남북경제 협력을 위한 ‘파주문산통일경제특구’ 조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돼 관심을 끌고 있다. 파주에 통일경제특구 조성은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내 실현을 약속한 남북경제 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요 국정과제다.
3일 경기도와 파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도로부터 2030 파주도시기본계획을 확정받으면서 도시공간구조인 문산중생활권(문산읍, 파주읍,파평면, 적성면, 법원읍, 군내면,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에 파주문산통일경제특구(이하 통일경제특구)를 조성하는 계획도 함께 승인받았다. 시는 이를 위해 문산중생활권 전체 계획인구인 19만3천 명 중 통일경제특구만 위해 6만 명을 따로 배정했다.
통일경제특구에 대한 시 계획을 보면 남한의 기술과 북한의 인력을 활용해 상호 비교우위 분야에 대한 유기적 결합 등을 위해 남북경제협력단지와 남북교류거점도시 등 2가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남북경제협력단지계획을 보면 IT 중심 연관 지식기반산업과 개성공단 연관산업, 물류산업 등을 특화하도록 했다. 파주LCD 클러스터 조성을 개성공단과 연계해 남북교류 첨단산업벨트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남북교류 거점도시 구상으로는 접경도시 개념의 남북교류 협력도시를 건설, 통일에 대비 대북교류 협력 행정, 과학기술전 수 및 연수, 산업물류 관련 시설 유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신정하 시 도시과장은 “‘2030 파주도시기본계획’상 통일경제특구 조성은 경기도 종합계획(2012~2020년)을 반영한 것이다. 1단계로 남북경제협력단지를 2단계로 남북교류 협력도시 조성이 주요 골자”라고 설명했다.
시의 이 같은 통일경제특구 조성방안에 대해 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은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나섰다. 박찬일 시의원은 “통일경제특구는 문산중생활권 주민은 물론 접경 도시로 피해를 보는 파주 전체 경제발전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역사적 사업”이라며 적극적인 행정 노력을 당부했다.
우춘환 파주평화경제시민회의 의장도 “파주는 평화가 경제다. 저성장 경제구조인 현재의 ‘분단 경제’를 탈출하는 길은 남북 간 경제교류가 되는 평화 경제특별구역의 조속한 설치다. 조만간 국회 앞에서 통일경제특구조성촉구 위한 1인 시위를 펼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2의 개성공단 조성으로 남북경제 공동체를 실현하는 ‘평화경제특별구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은 더불어민주당 박정 국회의원(파주을) 이 자신의 20대 국회 1호 법안으로 국회에 제출돼 현재 관련 상임위에 2년째 계류 중이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