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농업의 미래, 푸드플랜부터

▲
연초부터 AI로 전국의 방역망이 비상에 걸려있다. 우려했던 대로 매년 발병이 되풀이되고 있다. 생산농가는 생산농가대로,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전 국민의 걱정거리가 되었다. 작년 농업을 둘러싼 이야기를 보면, 살충제 계란이 식품의 안전성에 큰 걱정을 안겨주었으며, 여름철에는 가뭄으로 전국이 메말랐다. 이 시기의 배추는 역사상 최고가였으나 김장철은 과잉 생산이 되어 폭락사태를 맞이했다. 매년 반복되는 이 수수께끼를 과연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이런 반복되는 문제들을 정리해보면 4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첫째, 70~80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대량생산 대량소비로 귀결되는 산업구조에서 농업도 무한경쟁의 경제적 논리로 풀어가다 야기된 문제다. 대규모의 농가와 소농가가 동일하게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부분 국내 과일채소가 가락시장이라는 큰 도매 시장을 거치는 기형적인 유통구조의 문제로, 소농의 경우 아무리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더라도 판로를 찾기가 쉽지 않은 문제에 봉착해 있다. 둘째로 먹거리 안전성에 해결되지 않는 점이다. 대량생산의 생산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장기간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니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농약과 비료가 필요해졌으며, 식중독은 해마다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
셋째, 농산물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문제다. 해마다 쌀은 남아돌고 있으나, 식량의 자급률은 OECD 최저고, 폭락하는 농산물에도 불구하고 수입농산물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식품 폐기량은 증가하고, TV와 매스컴에서는 항상 비만이 개인의 건강을 떠나 사회문제까지 야기하고 있다지만, 곳곳에 결식아동과 노인의 문제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넷째, 농촌과 농업인은 우리가 함께 가야 할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고령화 및 농업인구의 감소 추세를 보면 머지않아 농촌에 사는 인구가 사라져 농업활동이 중지되고 농경지고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이 없어지는 상황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농업을 보는 국민의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한 차원 높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사회적인 수요가 늘면서 친환경농산물, 로컬푸드, 직거래장터 등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건강과 농업, 환경과 경제를 하나로 묶는 데에는 지역생산과 지역소비의 먹거리 선순환 경제 시스템이 가장 기본적인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때마침 새 정부 농정의 큰 축의 하나가 푸드플랜이라고 한다.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의 생산 공급체계를 위한 종합적인 전략이라고 한다. 우리 경기도에서도 올해에는 구체적인 연구와 계획이 진행된다고 하니, 향후 5년에서 10년을 내다보고 경기도민의 먹거리 기본권 확립과, 도시와 농촌을 연계한 지역순환의 종합 전략으로 경기도 푸드플랜을 기대해 본다.

 

서재형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