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다음 달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의지를 밝힌 것에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그간 일본 정부와 아베 총리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방한하는 문제를 협의해왔으며 오늘 일본 측이 방한의사를 전달해온 것에 환영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박 대변인은 “아베 총리의 방한이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일본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아베 총리의 위안부 합의 관련 발언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한일관계는 미래지향적 관계 등을 고려하며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투트랙으로 한다는 입장을 천명하지 않았느냐”며 “(아베 총리가) 그 말씀을 하면 위안부 할머니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도 같이 말씀드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정부의 입장은 일관됐다. ‘지난 정부의 위안부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고 볼 수 없다’라는 입장을 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고, 아베 총리의 소녀상 철거 요구에 대해서도 “우리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얘기하게 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아베 총리 방한 시 아베 총리가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사죄나 이에 준하는 표현을 직접 하는 방안을 요청할 가능성에 대해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이라는 것도 있어서 우리는 TF 조사결과를 발표하며 우리 정부의 입장을 얘기했고, 대통령도 신년회견에서 말했기 때문에 그 말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별도 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선 “별도 정상회담은 일정과 주제, 또 장소를 평창에서 할지 서울에서 할지 등을 실무적으로 논의하라고 그렇게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정상화를 위한 결과물 도출’ 가능성에 대해선 “두 분이 만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나중에 대화를 진행하는 상황들을 봐서 지켜보는 게 맞겠다. 아베 총리가 올림픽에 참석해서 올림픽 성공에 보탬이 되고 한일관계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만남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거기에서 어떻게 진전될지는 두 분의 대화 내용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정상회담에서 일본 정부가 출연한 10억 엔과 관련한 논의 여부에 대해 “정상 간에 만나 그런 구체적 문제를 논의하진 않을 것 같다”며 “통상적 정상회담일 경우 구체적 사안은 주로 논의하지 않는 게 관례”라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이날 오전 일본 정부가 주일한국대사관에 아베 총리 방한 협의를 공식 요청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