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서인부대

유제홍 인천본사 부국장 jhyou@kyeonggi.com
기자페이지

인천 발(發) 서인부대(서울-인천-부산-대구)가 인천과 부산에서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인천이 1인당 지역내총생산과 경제성장률 등 통계청 기준(2016년)의 각종 경제지표가 부산을 넘어서면서, 서울에 이어 대한민국 2대 도시로 도약한다는 의미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오는 10월 시민의 날에 올해를 ‘서인부대 원년의 해’로 선포할 계획을 세우고 서인부대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2017년 11월 인천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서울, 부산을 제치고 특·광역시 1위를 차지하고, 인천 실업률도 최근 6개월 연속 서울, 부산, 대구보다 낮다는 지표 등이 서인부대론의 근거들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서인부대라니, 인천시가 무슨 군대 조직이냐? 차라리 특수부대라고 해라”는 정치적 견제도 나오고, 지역 언론에서는 서인부대의 허와 실을 지적하면서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부산지역은 서인부대로 비상이 걸렸다. 부동의 2위 도시 자리를 인천에 빼앗길 판이라니 신경이 쓰일 터이다.

 

부산지역의 유력 일간지는 서인부대에 대한 기획기사와 칼럼 등을 통해 서인부대 실체를 분석하는 한편, 성찰과 앞으로의 대안 등을 집중 요구하고 있다.

한 칼럼에서는 ‘부산의 경제가 예전만 못하면서 부동의 2위 도시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칼럼에서는 2014년 이후 경제성장률 저하와 인구 감소, 청년 실업률 증가 등을 지적하면서 지금은 부산이 앞으로 ‘무엇으로 살아갈 것’인지에 대해 성찰이 있어야 할 때라고 밝히고 있다.

‘인천의 호들갑에는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라면서도 ‘부산의 자리를 호시탐탐 엿보는 인천시가 시세 역전을 호언장담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라고 인정한다.

 

맺음말에서는 ‘서울 다음이 부산이라는 틀이 깨진 뒤 그 시절이 좋았네라는 회한은 쓸데없는 푸념일 뿐’이라는 경고도 잊지 않는다.

 

인천 입장에서는 도시의 서열이 달라진다니 노려볼만한 가치가 있어 보인다.

‘서울 다음이 부산에서 인천으로 바뀌었다’ 라는 말이 언제쯤 나올까.

 

유제홍 인천본사 부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