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갈매지구 공공택지 개발에 따른 인구유입으로 치안 및 소방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가운데 공공청사 신설을 앞둔 구리경찰서와 구리소방서가 부지 선점을 두고 날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7일 구리 경찰서와 소방서, LH 등에 따르면 경찰과 소방은 갈매지구 조성과 함께 급격히 늘어나는 인구유입으로 갈매동 일원에 지구대와 119안전센터 등 공공청사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소방당국의 경우 갈매안전센터 신설 승인요청을 하고 지난해 각종 심의ㆍ심사를 통과해 사업비(46억 원)까지 확보하는 등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고, 경찰 역시 같은 해 지구대의 필요성에 따라 경기 북부청 등에 신설에 대한 공문을 보내놓은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토지 공급자인 LH가 지난 2014년 갈매동 근생지역 2필지에 대한 공공기관 수요파악과 매입의사를 타진하는 과정에서 경찰 측이 먼저 회신, 도로 2개 면을 접하는 앞 부지(999㎡)를 차지하고 소방 측이 뒤 부지(999㎡)로 각각 나뉘어 선정되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소방당국은 최근 전국적으로 잇따른 대형화재 인명사고로 촌각을 다투는 골든타임 출동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부지 교환 또는 일부 면적에 대한 양보를 요구하는 입장이다. 경기도 안전센터 건축설계 표준가이드라인(1천650㎡) 대비 부지가 매우 협소하고, 건립 이후 도로 1개면 만 사용이 가능해 대형특수차량의 진ㆍ출입이 불편해 신속한 출동이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소방서 관계자는 “인창119안전센터 역시 도로 1개 면에 접해 출동시 각종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서 “체험센터 등 부족한 인프라 구축과 신속한 출동 등 각종 문제가 있는 만큼, 경찰 측에서 부지 교환 또는 면적 양보를 해주길 바란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경찰 역시 강도, 살인 사건 등 강력 사건에 대한 긴급 출동 등의 문제로 양보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긴박한 소방 측의 상황을 이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경찰 역시 관내 하루 평균 150건의 출동 건수와 1년 5만 건이 넘는 출동 등 소방보다 훨씬 많은 출동을 하며 1분1초가 아쉬운 상황”이라며 “이는 조직 이기주의가 아닌 국민에 대한 의무로 양측 간 출동 중요도에 대한 우위를 가리기 어렵다. 두 청사 사이 담을 쌓지 않는 등 같이 윈윈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양측의 갈등에도 LH는 사전에 면적 조정 등 협의에 나서지 않고 같은 규모로 부지를 선정한 뒤 ‘두 기관의 협의에 따라 결정할 사안’이라며 한발 물러난 모습을 보이면서 ‘땅장사에만 급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LH관계자는 “한 달 간격으로 경찰이 먼저 매입의사를 밝혀 부지가 선정된 것으로, 두 필지 모두 같은 가격인데 땅장사로 볼 수 있겠느냐”며 “양측의 의견이 다른 만큼 향후 삼자 협의를 통해 토지교환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구리=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