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워라밸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면서 직장인 10명 가운데 9명은 근로자가 개인 여건에 따라 근무 시간과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도입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1천7명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직장인 90.4%는 ‘유연근무제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성별로는 여성직장인(92.3%)들이 남성직장인(89.2%)들에 비해 유연근무제 도입 찬성이 다소 높았으며, 미혼(88.8%) 보다는 기혼(91.4%) 직장인들이 다소 높았다.
유연근무제 도입을 찬성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업무 효율성 및 업무 만족도가 크게 증가할 것 같아서’란 의견이 5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불필요한 야근, 추가 근무가 줄어들 것 같다’(23.8%), ‘육아, 원거리 출근 등 개인적인 이유 때문’(16.0%), ‘이미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들의 긍정적인 효과’(4.0%)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는 ‘유연근무제를 적용할 수 없는 직무가 많기 때문’이란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근무시간이 달라져서 업무에 영향을 미칠 것 같다’(22.7%), ‘의도적으로 근무시간을 줄이는 등 악용 사례가 발생할 것 같다’(21.6%), ‘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유명무실한 제도 같다’(20.6%) 등의 순이었다.
이런 가운데 실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은 1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형태별로는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31.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외국계기업 27.6% ▲대기업 24.1% ▲중견기업 14.0% ▲중소기업 13.1%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금융업종이 27.3%로 가장 높았으며, 중공업.조선.석유.화학업(23.1%), 식음료.외식업(19.0%), 건설업(18.8%), 서비스업(17.5%), IT.정보통신업(16.6%) 등의 순이었다.
한편 도입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로는 출퇴근 시간 선택이 가능한 자율출퇴근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기업이 37.7%로 가장 많았다. 총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자율적 근무 스케줄이 가능한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운영하고 있다는 기업도 26.0%로 나타났다. 이 밖에 주 5일 근무보다 근무 시간이 짧은 단시간근무제(10.4%), 재택근무제(6.5%), 직무공유제(5.8%), 집중근무제(4.5%) 등의 있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