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지름길은 학원ㆍ인강보다 공공기관…공공기관 취업 프로그램 참여 청년 취업률 9% 높아

학원ㆍ온라인 강의 수강보다 공공훈련기관에 개설된 프로그램 수강이 취업에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 경제연구 ‘직업훈련이 청년취업률 제고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훈련기관에서 실시한 직업훈련에 참여한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취업률이 9.4%p 높았다. 대학에 개설된 비학위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한 청년들도 그렇지 않은 청년보다 취업률이 7.9%p 높았다.

 

해당 보고서는 공공훈련기관(한국폴리텍대학, 한국기술교육대학, 장애인고용공단 등)ㆍ민간훈련기관(학원)ㆍ대학(비학위 과정)ㆍ통신(온라인) 강좌 등 4가지 방식의 직업훈련에 참여한 4년제 대학 졸업자 약 3만 명을 대상으로 작성됐다. 민간훈련기관, 온라인 직업훈련의 취업률 제고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직업훈련 실시 기관에 따라 취업률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로 각 훈련기관의 수강생 관리 및 훈련에 참여하는 청년들의 태도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남주 한은 거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학원, 온라인 강의 등은 수강생이 자율적으로 등록해 직업훈련에 참여하기 때문에 훈련기관의 수강생 관리가 덜 엄한 편”이라며 “공공기관이나 대학은 훈련 기간이 정해져 있고 훈련 참가자들이 선발되는 측면이 있어 관리 측면 뿐만 아니라 수강생들의 의욕도 더 앞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직업훈련 실시주체에 따라 청년 취업률 제고 효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주체별 프로그램 내실화를 병행해야 한다” 며 “각 기관의 훈련 방식, 참가자 동기 부여 정도 등을 면밀히 분석해 향후 고용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공공훈련기관과 대학 직업훈련 간 취업률 제고 효과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