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단장으로 한 5명의 대북특별사절단을 5일 평양에 파견키로 했다.
특사단원은 정 수석단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다. 이들 외에 실무진 5명을 포함해 총 10명이 방북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4일 브리핑을 통해 “사절단 파견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파견한 김여정 특사에 대한 답방의 의미”라며 “5일 오후 특별기편으로 서해직항로를 통해 방북한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사절단은 북측 고위급 관계자들과 남북관계 및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대화에 나설 것”이라며 “북미대화 여건 조성, 남북교류 활성화 등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해 포괄적인 대화를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사절단은 6일 오후 돌아와 귀국 보고를 한 뒤 미국으로 가서 미국과 협의하고 중국, 일본과도 긴밀하게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특사는 ‘북미관계 중재’라는 초유의 임무가 주어졌다. 김영철 북한 통일전선부장의 방남 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국 정부의 상황을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중매하는 입장”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북미대화가 이뤄지도록 조율하기 위해 평양에 특사를 보낸다는 것이다.
특사단을 보면 대북통인 서훈 국정원장과 대미통인 정의용 안보실장이 나란히 발탁됐다. 북한·미국과 각각 말이 통하는 두 사람을 북한과 미국의 ‘중매쟁이’로 파견하는 셈이다. 특히 청와대는 사절단이 5일 방북했다가 6일 돌아온 뒤 미국으로 갈 계획임을 밝혔다.
북한과 협의한 내용을 미국 측에 전달하고, 이번엔 미국을 상대로 북미 대화 여건 조율에 나선다는 것이다. 미국 측을 설득하는 과정에는 정의용 실장이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 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미국 백악관 핵심라인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물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남북 관계와 북미 대화에 대해 북한이 어느 정도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북한이 생각하고 있는 여러 이야기를 듣고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방남했을 때 정부 기관과 릴레이 회담을 했던 걸 생각하면 된다. 실무선에서 이야기하는 수준은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