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市가 먼저 제안… 화성시 설득 더욱 노력해야” 외면
예비후보지 함께 선정한 대구는 정부 지원받고 부지도 선정
지난해 2월 나란히 예비이전후보지를 선정한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과 ‘대구 군공항 이전 사업’이 1년이 지난 현재,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구 군공항 이전 사업은 국방부와 지자체 간 활발한 논의 끝에 지난 14일 ‘예비’ 자를 떼어내고 군위ㆍ의성을 이전후보지로 결정했지만,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의 경우 지난해 2월 화성시 화옹지구를 예비이전후보지로 선정한 후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한 채 멈춰 있기 때문이다.
25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국방부는 지난 14일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개최하고, 예비이전후보지인 경북 군위군 우보면 일대와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일대 등 2곳을 이전 후보지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2월16일 예비이전후보지로 군위ㆍ의성이 선정된 지 1년 만이다.
반면 지난해 2월16일 대구 군공항 이전 사업과 함께 화성시 화옹지구로 예비이전후보지가 결정된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은 현재 1년이 넘도록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예비이전후보지인 화성시가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은 대구 군공항 이전사업보다 약 1년가량 먼저 이전 건의서가 제출됐고, 적정성 평가와 타당성 승인도 1년가량 앞서 승인받았지만 예비이전후보지 선정 이후 사업 추진 속도가 오히려 역전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자체 간 갈등 양상을 빚을 수밖에 없는 군공항 이전 사업은 국가 안보를 위한 일이고, 군공항의 실제 이용자가 국방부인 만큼 국방부가 적극적으로 사업 추진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2016년 7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정부 내에 TF팀을 구성해 지자체 및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대구공항 이전이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추진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한 이후 대구 군공항 이전 사업이 속도를 낸 만큼 결국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도 정부의 의지문제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국방부는 오히려 수원시의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을 국방부 사업이라고 표현하는 건 무리가 있다. 수원시가 먼저 이전건의서를 제출해 추진된 사안”이라며 “너무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자칫 수원시 편을 든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 화성시를 설득하기 위해 수원시도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광재 수원시민협의회 사무총장은 “수원 군공항 이전은 대한민국의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국방부가 이전에 대해 보다 강력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호준ㆍ임성봉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