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북미 정상회담 모두 성공해야 평화의 문 열린다”

文대통령, 北 비핵화 의지 평가
中·日 등 국제사회와 공조도 강조
“정전체제 끝내고 종전 선언 필요”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국립 4.19민주묘지를 방문, 4.19 기념탑에 헌화 분향한 뒤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국립 4.19민주묘지를 방문, 4.19 기념탑에 헌화 분향한 뒤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남북정상회담을 8일 앞두고 “한반도는 65년 동안 끌어온 정전체제를 끝내고 종전 선언을 거쳐 평화 협정의 체결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출입언론사 사장들과 오찬을 주재한 자리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우리는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지속 가능한 남북관계 발전의 길을 여는 확고한 이정표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이끌어내는 길잡이가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한반도 비핵화의 성공을 염원했다. 이어 “냉정하게 말하면 지금 우리는 대화의 문턱을 넘고 있을 뿐”이라며 “대화의 성공을 장담하기엔 아직 이르다. 북미정상회담까지 성공해야만 대화의 성공을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정상회담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대담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의지에 대해서는 “지금 북한은 국제사회에 완전한 비핵화의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며 높게 평가하면서 “북한은 우리에게 적극적인 대화의 의지를 보여주는 한편, 북미간에도 서로 적극적인 대화 의지 속에서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비핵화 방식을 놓고 남ㆍ북ㆍ미간 이견이 있다’는 지적에는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면서 주한미군 철수라든지 미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하지도 않는다”며 “오로지 북한에 대한 적대정책의 종식, 안전보장을 말할 뿐”이라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냉정하게 말하면 지금 우리는 대화의 문턱을 넘고 있을 뿐이다. 대화의 성공을 장담하기엔 아직 이른다”면서 “남북정상회담뿐만 아니라 사상 최초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까지 성공해야만 대화의 성공을 말할 수 있다. 대담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해법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19일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6차 회의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 수행원으로 6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공식 수행원은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19일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6차 회의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 수행원으로 6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공식 수행원은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어 북핵문제는 남북을 떠난 국제적 성격의 이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다각적인 공조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북핵문제가 풀려나가서 국제적인 제재가 해소돼 나가야, 남북관계도 그에 맞춰서 발전할 수 있는 상황, 남북간 대화가 잘되는 것만 가지고 풀 수 없는 상황”이라며 “북미·북일관계 발전에 중국의 지지와 동참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007년 제2차 정상회담 당시를 거론하며 “6자회담에서 9.19 공동성명과 2·13 합의로 핵의 방안에 대해서 합의가 된 상황이었다”면서 “지금 북한의 핵과 미사일이 그때하고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고도화된 상황이다. 미국의 제재가 강력하게 진행 중인 상황이어서 그 제재를 넘어서서 남북이 따로 합의할 수 있는 내용도 크게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평화체제 ▲북미관계 정상화 ▲북한 경제발전 지원 등 큰 틀의 원론적인 합의는 크게 어려울 것 같지 않다며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문 대통령은 “북미간 합의가 잘 되도록 양측이 다 수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노력할 것”이라고 적극적인 중재 의사를 밝혔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