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北 비핵화 의지 평가
中·日 등 국제사회와 공조도 강조
“정전체제 끝내고 종전 선언 필요”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출입언론사 사장들과 오찬을 주재한 자리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우리는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지속 가능한 남북관계 발전의 길을 여는 확고한 이정표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이끌어내는 길잡이가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한반도 비핵화의 성공을 염원했다. 이어 “냉정하게 말하면 지금 우리는 대화의 문턱을 넘고 있을 뿐”이라며 “대화의 성공을 장담하기엔 아직 이르다. 북미정상회담까지 성공해야만 대화의 성공을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정상회담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대담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의지에 대해서는 “지금 북한은 국제사회에 완전한 비핵화의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며 높게 평가하면서 “북한은 우리에게 적극적인 대화의 의지를 보여주는 한편, 북미간에도 서로 적극적인 대화 의지 속에서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비핵화 방식을 놓고 남ㆍ북ㆍ미간 이견이 있다’는 지적에는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면서 주한미군 철수라든지 미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하지도 않는다”며 “오로지 북한에 대한 적대정책의 종식, 안전보장을 말할 뿐”이라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냉정하게 말하면 지금 우리는 대화의 문턱을 넘고 있을 뿐이다. 대화의 성공을 장담하기엔 아직 이른다”면서 “남북정상회담뿐만 아니라 사상 최초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까지 성공해야만 대화의 성공을 말할 수 있다. 대담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해법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07년 제2차 정상회담 당시를 거론하며 “6자회담에서 9.19 공동성명과 2·13 합의로 핵의 방안에 대해서 합의가 된 상황이었다”면서 “지금 북한의 핵과 미사일이 그때하고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고도화된 상황이다. 미국의 제재가 강력하게 진행 중인 상황이어서 그 제재를 넘어서서 남북이 따로 합의할 수 있는 내용도 크게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평화체제 ▲북미관계 정상화 ▲북한 경제발전 지원 등 큰 틀의 원론적인 합의는 크게 어려울 것 같지 않다며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문 대통령은 “북미간 합의가 잘 되도록 양측이 다 수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노력할 것”이라고 적극적인 중재 의사를 밝혔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