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남북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1일부터 대북 심리전 수단인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남북간 확성기 방송 시대가 55년 만에 완전히 끝날지 관심이다.
국방부는 30일 “우리 군은 5월 1일부터 `판문점 선언` 후속 조치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군사분계선 일대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 철거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번 조치는 5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살포를 비롯한 모든 적대행위를 중지하고 그 수단을 철폐`하기로 한 판문점 선언을 준수하고자 하는 행동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국방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 철거는 방송이 재개된지 약 2년3개월 만이고 남북 정상회담 합의 이행 차원이다.
남북 합의 없이 남측이 먼저 확성기를 끈 것은 역대 처음으로 알려졌는데 정상회담을 앞두고 남측이 먼저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 선제 조치를 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7일 정상회담 직후 서명한 공동선언문은 “5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살포를 비롯한 모든 적대 행위들을 중지하고 그 수단을 철폐하며 앞으로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23일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와 남북 정상회담 분위기 조성 차원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고 북한도 이에 호응해 대남 확성기 방송을 멈췄다.
국방부는 ‘판문점 선언을 준수하고자 하는 행동의 일환’이라고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지만 남측이 먼저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을 때 북측도 끈 것처럼 확성기 전면 철거도 기대하고 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1963년 시작돼 남북관계 부침에 따라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합의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고 시설도 철거했으나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 조치로 재개해 최근까지 가동해왔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