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장소 베일 속 6월 열릴 가능성
경호 고려 개최지로 싱가포르 재부상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7일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을 고려하면 북·미 정상회담의 5월 내 개최가 힘들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5월 개최를 공언한 만큼 가능성은 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장소도 원점에서 검토되면서 싱가포르가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청와대 관계자는 “판문점이 여전히 유력한 후보”라면서도 “촉박한 일정과 미국 정상의 동선 및 경호인력 등을 고려해 판문점에 대한 미국 내 부정적인 기류가 많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두 차례나 “장소·시간이 이미 결정되었다”고 밝혔지만, 공식 발표가 늦어지는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외교가에서는 미국이 아직 의제 및 수위를 조율하지 못한 탓이라는 분석이 일반적이다. 나아가 북미회담 때 북한이 딴 소리를 못하게 미국이 사전에 못을 박으려다 보니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청와대는 당혹해 하는 분위기다. 기본적으로 ‘북미정상회담 일정은 북미가 결정할 일’이라는 입장이지만, ‘운전자’를 자임하며 북미회담 성사에 힘써온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서도 두 나라 간 신경전이 길어지는 게 달갑지 않다. 당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남북 핫라인 통화도 계속 미뤄지고 있어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일단 두 지도자의 신변 안전 때문에 공식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보다 극적인 효과를 높이려고 뜸을 들이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최근 미국 측 발언을 양 측 실무회담에서 미국 입장에선 반드시 확인하고 넘어가야 할 것 들에 북한 측이 모호한 답변을 주고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미국 국무부는 6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을 통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의 어떠한 추가 위성 발사도 핵 포기 수준으로 억제되어야 한다는 ‘압박’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지난 5일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과 전화통화에서 “북한이 완전 비핵화로 가기 전까지는 북한의 위협에 대처해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이처럼 미국 내 미묘한 기류는 혹 있을 지 모를 북한의 오판이나 ‘속임수’를 사전차단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북한에 대한 미국의 ‘군기잡기’라는 것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