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가 오는 24일로 창립 15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이에 발맞춰 공사의 미션과 비전을 각각 ‘도시공간 재창조로 인천시민의 주거안정과 행복실현에 기여’와 ‘도시재생과 주거복지 리더 공기업’으로 설정하고 경영혁신을 준비하고 있다. 인천도시공사의 정체성과 미래비전의 이미지를 담은 새로운 영문사명으로 개편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다채로운 행사도 펼칠 예정이다.
공사는 원도심 지역의 기반시설 확충, 주택건설, 도시재정비촉진사업, 정비사업 등을 통한 원도심의 도시기능 회복은 물론 경제·사회·문화적 활성화를 위해 인천시와의 업무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본격 추진해 나갈 방침을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달 24일 ‘원도심 활성화 참여사업’에 대한 인천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이색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협약에 따르면 인천도시공사는 원도심 활성화 사업의 시행사로 대상 사업을 발굴하고 인천시와 협의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핵심사업은 유정복 시장이 이미 밝힌 동인천역세권 주변 재정비촉진사업,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지 주변 개발, 인천 북부권역 개발 등 ‘원도심 혁신 3대 프로젝트’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의 추진은 창립 15주년을 맞이한 공사의 정체성 재정립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무엇보다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공기업의 역할과 기능을 망각하고 개발사업 홍보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강하게 든다. 지방공기업은 민간기업에 의해 확보되지 못하는 서민의 주거복지 향상과 개발의 사업성이 미흡한 지역의 생활기반 인프라 확충이 가장 큰 기본임무이다.
‘원도심 혁신 3대 프로젝트’ 는 도시재생이 아니라 새롭게 포장된 도시개발사업일 뿐이다. 이러한 사업은 민간의 자본에 의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지방정부나 공기업이 주체가 돼서는 안 된다.
동인천 사업은 그동안 2조원대 ‘동인천 르네상스 프로젝트’라고 홍보하면서 추진하다 무산됐다. 수개월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협의 중이며 공동으로 사업 기본구상과 타당성에 관한 용역이 추진 중이다. LH와 별도 협의를 마무리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도시공사가 시행사로 나선다고 밝힌 것이다.
도시공사는 인천시의 잘못된 판단으로 개발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다가 엄청난 부채를 떠안은 뼈아픈 과거를 잊지 말아야 한다. 스스로 정체성의 확립은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활용하고 실패의 경험을 되풀이하지 않는 것이다. 시 정부의 지시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하는 것을 과감히 지적할 수 있는 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그 정체성 확립의 첫걸음이다. 그래야만 본연의 임무를 다하고 한층 혁신하는 정체성이 확립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