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용기편으로 중국 북동부 다롄(大連) 시를 전격 방문한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또한 자국산 항공모함의 시험 운항식 참석을 위해 다롄으로 이동한 것으로 전해져, 양국 최고지도자의 회동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일본과 중국 내외신들을 종합하면 중국 동북부 다롄 국제공항에 8일 오후 1시30분께 북한 고려항공 여객기 1대가 도착해 중국 측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기와 동일한 기종인 일류신 62형 비행기가 고려항공 마크가 없는 상태로 다롄 공항에서 포착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 같은 정황과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그 문제는 ‘상당한 무게’를 두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북한 최고위급이 다롄에 입성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웨이보 등에서 중국 네티즌은 지난 6일부터 다롄 공항 및 시내에 대한 교통 통제가 매우 심해졌다는 내용을 올리고 있다. 다롄 중심부의 주요 도로에는 경찰관이 배치되는 등 경비가 강화됐으며 해외 요인의 숙박이 가능한 시설로 통하는 도로는 봉쇄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다롄에 취항하지 않은 북한 고려항공 여객기를 봤다거나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기인 ‘참매1호’기를 봤다는 주장도 제기됐지만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다롄 현지 경호나 보안 수준이 지난 3월 말 김정은 위원장의 베이징(北京) 방문 때와 비견해도 뒤지지 않는 국가원수급의 높은 수준이라며 김 위원장의 재방중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시진핑 중국 주석도 ‘제1호’ 국산 항공모함인 001A형 산둥(山東)함의 해상시험 출정식 참석차 지난 7일 다롄을 방문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시 주석과 만나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한, 남북의 ‘판문점 선언’ 이후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 중국이 배제된 것에 대해 북한이 북중 관계를 개선하려는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만약 김정은이 또다시 중국을 방문했다면 최근 비핵화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미국에 간접적인 메시지를 주려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머무는 것으로 추정되는 방추이다오가 북한의 최고 권력자들과 맺어온 인연의 역사도 의미심장하다. 김일성 주석은 1958년 이곳에서 장기 체류하는가 하면 83년엔 후야오방(胡耀邦) 총서기와 회담을 했고 김정일 위원장도 2010년 이곳에 묵으면서 항구와 산업시설을 시찰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