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생산ㆍ일자리 모두 악화…좋은 일자리 감소폭 뚜렷

제조업 생산이 주춤한 가운데 일자리 상황도 세 분기 연속 악화하고 있다. 아울러 제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의 감소폭도 뚜렷해 업계 전반적으로 우려가 일고 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에 재직 중인 상용근로자 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세 분기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제조업 상용 근로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2천394명 줄었고 지난해 4분기 수치도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9천257명이나 감소했다. 올해 1분기에도 전년 동기와 비교해 2천384명이 줄었다.

 

관련 통계가 제공되는 지난 2009년 3분기 이후 제조업 상용 근로자 수가 감소한 것은 지난해 3분기~올해 1분기뿐이다. 세부 항목에서는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지난 2015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상용 근로자가 11분기 연속 줄어드는 등 눈에 띄는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 GM 군산 공장 폐쇄와 차 수출 부진 등으로 자동차 산업 전반이 우려를 사는 가운데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에 종사하는 상용 근로자는 1분기에 3천523명 감소했다.

 

제조업 상용근로자 수 감소에는 자동차나 조선업 등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이나 철강산업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1분기 업종별 광공업생산지수를 작년 1분기와 비교해보면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1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10.5%, 1차 금속 제조업은 7.2% 감소했다.

 

제조업 상용직은 급여 수준이 높아 취업 시장에서는 비교적 좋은 일자리로 분류된다.

 

제조업 상용 근로자가 세 분기 연속 감소한 것과는 달리 제조업 임시 일용 근로자 수는 작년 4분기에 2천523명, 올해 1분기 2천856명 늘어나는 등 전년 동 분기와 비교해 두 분기 연속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제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불안정 노동을 하는 이들의 증가세가 뚜렷하다”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