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공중훈련 ‘맥스 선더’ 이유 우리측에 회담 거부의사 통보
“일방적 핵포기 강요” 비난수위 높여… 북미정상회담 앞두고 기싸움
정부가 16일로 예정돼 있던 남북 고위급회담을 북한이 무기한 연기한 것에 대한 우리측 입장이 담긴 대북통지문을 북측에 발송했다.
통일부는 “정부는 이날 오후 북측에 이번 남북 고위급회담 연기 관련 우리측 입장이 담긴 대북통지문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이날 0시30분께 리선권 단장 명의의 통지문을 정부에 보내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맥스 선더’(Max Thunder) 훈련을 이유로 고위급회담을 무기 연기한다고 알려왔다.
북한은 또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담화를 통해 ‘선 핵포기 후 보상’,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생화학무기 완전폐기’ 등의 발언을 내고 있는 미국을 규탄했다.
김 제1부상은 담화에서 “리비아나 이라크의 운명을 우리 국가에 강요하려는 불순한 기도의 발현이다. 미국의 이러한 처사에 격분을 금할 수 없으며 미국이 진정으로 건전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조미관계 개선을 바라는가에 대하여 의심하게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방적인 핵 포기만 강요하려 든다면 다가오는 조미수뇌회담에 응하겠는가를 재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통일부는 백태현 대변인 성명을 통해 “4월27일 양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의 근본정신과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며 유감이라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백 대변인은 “정부는 ‘판문점 선언’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고자 하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북측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조속히 회담에 호응해 나올 것을 촉구한다”며 “북측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해서도 남북간 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고위급회담을 10시간도 채 남기지 않고 무기한 연기한 것은 표면적으로 내세운 ‘맥스 선더’ 훈련 이외에 다음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기로 한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 싸움을 벌이기 위함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미 외교 장관은 이날 전화통화를 갖고 이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전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요청으로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 남북 고위급회담 연기 통보 문제 등 상호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강 장관은 통화에서 북측의 통보에 대한 입장을 설명하며 “우리 정부는 ‘판문점 선언’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고자 하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북측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조속히 회담에 호응해 나올 것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 장관은 4·27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완전한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정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