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이 의미하는 바 꼼꼼히 설명
스토리텔링 전략을 애니메이션에 적용해 분석한 책이 출간됐다. 문화콘텐츠전략 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박기수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가 펴낸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논형 刊)이다.
박 교수는 스토리텔링 전문가다. 한양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서사의 특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문화콘텐츠로써의 스토리텔링 연구에 매진해왔다. 앞서 <애니메이션 서사구조와 전략>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구조와 가능성> 등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책과 논문을 100여편 가까이 발간했다.
이 책에는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해 담았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1984)를 시작으로 <천공의 성 라퓨타>(1986), <이웃집 토토로>(1988), <마녀배달부 키키>(1989) 등 미야자키 감독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작품 10편을 총 10개의 장으로 나눠 보여준다.
특히 각 작품들이 어떠한 스토리텔링을 가지고 있는지, 그것들을 통해 감독이 의미하는 바를 어떻게 드러냈는지 꼼꼼하게 설명한다.
그는 책의 말머리에서 “20여년전 이웃집 토토로를 분석하며 느꼈던 전율과 환희의 체험은 지금도 가슴 뛰는 일”이라면서 “움직임만으로 온전한 즐거움을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 드러내지 않지만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독특한 문법은 미야자키 애니메이션 만이 가진 깊이와 즐거움”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미야자키를 통해 스토리텔링을 학습, 체험, 확장했다”면서 “이 책에는 그에 대한 작품론이나 작가론이 아닌 텍스트분석에 가장 큰 비중을 뒀다”라고 말했다. 값 2만원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