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현지시간) 기자회견, 회담 결과 설명 “세계 흐름 바꿀 일생 일대의 기회” 비핵화와 체제 보장을 맞바꾸는 ‘빅딜’ 큰그림 제시 김영철 부위원장, 김 위원장 친서 들고 워싱턴 행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31일(현지시간) 뉴욕을 방문 중인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의 고위급 회담 결과에 대해 “(정상회담의) 조건들을 설정하는 데 있어 지난 72시간 동안 실질적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72시간’은 뉴욕 고위급 회담을 비롯한 판문점과 싱가포르에서 진행돼온 북미간 실무접촉 결과를 전부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뉴욕 맨해튼 시내 롯데팰리스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우리가 세계의 흐름을 바꿀 일생에 한 번뿐인 이 기회를 잡을 수 있으려면 김정은 북한 위원장의 과감한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나는 김 위원장이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지도자라고 믿는다”며 “향후 수주 또는 수개월간 우리는 그것이 이뤄질 수 있는지를 시험해보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이 같은 언급은 실무접촉에서 진전이 있었지만,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최종 합의를 도출하려면 비핵화 문제를 두고 김 위원장이 정상 차원에서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그들(북한)이 과거에는 준비해본 적이 없는 전략적 변화를 이뤄낼 수 있는 미래로 향한 길을 숙고하고 있다고 믿는다”며 “이것은 분명히 그들이 결정할 일이다. 그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걸어온 길과 근본적으로 다른 길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특히 북미정상회담이 두 정상에게 “미국과 북한을 평화, 번영, 안보의 새 시대로 이끌 역사적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라고 평가하면서 “우리 두 나라는 이 기회를 흘려버리면 비극이 될 수 있는 결정적 순간을 마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과 나는 미국의 목표를 매우 일관되고 분명하게 알려왔다”면서 “그것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CVID 원칙을 다시 강조했다.
비핵화 범위에 대해서는 “이것은 그들 핵 프로그램의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라며 “그들의 체제안전에 진정한 위협이 되는 것은 핵무기를 계속 갖고 있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진정한 시험대는 우리가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느냐겠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 우리가 어떻게 진행해 나갈지, 세계가 북한에 요구하는 비핵화와 북한에 필요한 체제보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많은 대화를 했다”며 비핵화와 체제 보장을 맞바꾸는 ‘빅딜’의 큰그림을 제시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이 비핵화의 대가로 생길 수 있는 밝은 미래의 비전을 내세웠다. 그는 “우리는 강하고 (외부 세계와)연결된, 안전하고, 번영한 북한의 모습을 상상한다”며 “문화적 유산을 간직하면서도 국제사회에 통합된 북한”이라고 설명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함께 노력해서 미국과 북한인이 불신과 두려움, 위협이 아닌, 우정과 협력으로 정의되는 미래를 창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미래에 대한 이 긍정적 비전을 공유하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정상회담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확신한다”면서도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다음날까지 알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은 모른다”고 대답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전하기 위해 워싱턴으로 갈 계획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