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14일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북한과 적극적인 소통 아래 비핵화를 실현시키겠다는 뜻을 밝혔다. 북미가 정상회담을 통해 70년 적대관계를 해소한 만큼, 이제 우리나라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 앞장서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폼페이오 장관 역시 문 대통령에게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을 접견해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전했다. 그러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문 대통령 관계가 돈독하기 때문에 북한 비핵화와 남북관계 발전과정에서 긴밀히 협의해달라”며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문 대통령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북미 관계가 선순환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확실한 비핵화가 조기에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일부 전문가들이 북미정상회담 결과를 낮게 평가하는 것은 민심의 평가와는 동떨어진 것”이라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사용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은 한국 국민인데 그런 한국 국민이 북미 회담의 결과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폼페이오 장관이 문 대통령에게 요청한 ‘주도적인 역할’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미국이 우리나라 역할을 강조하고 나선 만큼 조만간 남북미 3자 간 정상회담이 실현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3일 한미 외교사에서는 이례적으로 이틀 연속 문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가졌다. 북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통화를 이어간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한미 공조’를 재차 강조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다시 ‘한반도 운전대’에 올라 비핵화 문제를 주도하려면 먼저 남북, 남북미 정상 간의 만남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남북,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정치적 상징성이 큰 종전선언을 발표하고, 이후 법적 구속력을 갖는 평화협정까지 체결해낸다는 시나리오다. 일각에서는 정전협정일인 7월 27일 남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문 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6·25전쟁 기간 전사자 유해 발굴·송환과 관련해 남북미가 공동으로 작업을 해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북미 정상이 싱가포르에서 공동합의문을 발표한 뒤 처음으로 남북미 3자가 협력하는 공동사업을 하려는 것이다. 정부가 이번 유해발굴 사업으로 다져진 협력 분위기를 디딤돌 삼아 남북, 남북미 정상회담까지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을 접견한 자리에서 “남북 간, 또 북미 간의 관계가 선순환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마련된 만큼 북일 관계도 조속한 시일 내에 정상적으로 복원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북미정상회담 결과 훌륭한 공동성명이 채택됐다”며 “이제 그 합의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이행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이 긴밀하게 협력하고 공조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에서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납치자 문제에 대해서도 “남북정상회담 때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달했고,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협력해 나갔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고노 외무상은 “북미정상회담이 성공리에 개최돼 문 대통령의 리더십과 노력에 다시 한 번 경의를 표한다”라면서 “북미정상회담 성공에 따라 일본·한국·미국이 공조해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해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도 납치 문제를 해결하고 일본과 북한의 국교를 회복하기 위해 북한과 마주 앉아 노력하겠다”며“납치 문제를 해결하고 국교를 회복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답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