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핵화 등 평화체제 구축
러시아 역할 끌어내기 최대 관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취임 후 세 번째 정상회담을 하는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동북아 냉전체제 극복 과정에서의 협력을 요청할 것으로 관측된다. 러시아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 당사국으로, 중국과 함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감시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월드컵 개막식 참석차 모스크바를 방문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만나 북미정상회담의 결과를 환영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비핵화 과정에서 러시아의 조력을 끌어내야 하는 문 대통령에게는 긍정적인 대목이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를 위한 다자 안보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냉전구도를 극복하는 데도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북미 데탕트 국면에서 미국과 중국이 ‘관세 폭탄’을 주고받는 등 ‘무역전쟁’이 심화할 경우 종국적으로 ‘한미일 대 북중러’의 긴장 관계가 대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러 정상이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신북방정책’과 ‘한반도 신경제지도’ 등 경제협력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러시아와의 경협 문제와 비핵화 문제는 사실상 서로 맞물린 이슈로 평가되는 만큼 대호 과정에서 성과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가스와 철도,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분야 등 ‘9개의 다리’를 놓는 ‘나인브릿지 전략’을 소개하면서 동시다발적 협력을 제안한 바 있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