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 폭이 5개월 연속 10만 명 전후에 머무는 등 ‘일자리 쇼크’가 계속되고 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12만 6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 6천 명(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2월 10만 4천 명을 기록하며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3개월 연속 10만 명대를 맴돌다가 5월에는 10만 명 선 마저 무너졌다. 6월에 다시 10만 명대를 넘어서긴 했지만 최근 고용 상황은 2008년 금융위기 이래 가장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당시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10만 명대 이하를 기록한 바 있다.
전체 취업자 증가폭 둔화에는 제조업의 일자리 부진이 큰 영향을 미쳤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 6천 명 줄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이번 감소 폭은 지난해 1월(-17만 명) 이후 1년 5개월 만에 컸다. 경기 영향에 따라 자동차·조선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의복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률은 61.4%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103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6천 명(-2.5%) 감소했으며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내렸다.
이와 함께 경인지방통계청의 6월 경기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경기지역 취업자는 683만 2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만 7천 명(2.0%) 증가했다. 제조업에서 3만 1천 명, 농림어업에서 2만 명이 감소했으나 전기·운수·통신·금융업(10만 명), 건설업(4만 7천 명), 도소매·숙박음식점업(3만 4천 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5천 명)에서 각각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제조업 등에서 취업자 수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며 “인구구조 영향은 하반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플러스 요인이 많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