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과기부·행안부, 서비스·창업 경진대회 공동 개최

다음달 30일까지 아이디어 공모…부처 협력 통한 사업 동반상승 기대

▲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는 ‘2018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창업 경진대회’를 공동 개최한다. 사진/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는 ‘2018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창업 경진대회’를 공동 개최한다. 사진/국토교통부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는 ‘2018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창업 경진대회’를 공동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시민, 지자체 공무원, 창업 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스마트시티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이번 경진대회는 오는 24일부터 8월 3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시티 분야의 국제적 연결망 확대를 위한 ‘제2회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WSCW)’와 연계 추진된다. 그동안 경진대회에서 도시생활 안전, 대중교통 이용, 환경 오염 문제 해결 등 도시 전 분야에 걸쳐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경험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이번 경진대회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신규 아이디어’ 부문과 ‘스마트시티 서비스 우수사례’ 부문, ‘창업 아이디어’ 부문으로 나뉜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신규 아이디어’ 부문은 도시 정보와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교통체증, 환경오염 등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모한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우수사례’ 부문은 도시 정보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방범·교통 등 도시행정 서비스의 질을 높인 국내 우수사례를 일반 시민, 지자체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한다.

 

‘또 ‘창업 아이디어’ 부문은 유망 청년의 창업 도전을 지원하기 위해 초기 사업화를 위한 자금을 이용권(바우처) 형태로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하며 예비 창업자 등이 대상이다.

 

제출된 작품 중 예선 서류 심사에서 27개의 수상작을 선정하고, 대상 및 최우수상은 상위 18개 작품 대상으로 본선의 발표 평가를 통해 결정되며 나머지 9개 작품에는 우수상이 수여된다.

 

국토부 이성해 도시정책관은 “스마트시티는 도시 기반시설에 정보통신(ICT) 기술, 몇 가지 아이디어를 더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라며 “이러한 아이디어들이 모여서 우리의 생활을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만들면서 새로운 좋은 일자리 창출과 함께 우리의 미래도시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