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장은 ‘인화회’에서 탈퇴해야

인천에는 독특한 단체가 있다. 회장이 인천시장이며 정무경제부시장이 운영위원장이고 간사는 총무과장이며 회원 220명 중 기업인이 102명, 나머지는 지역의 주요 기관장이나 유지로 구성된 ‘인화회’다. 인화회의 출발은 1966년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가 기관간의 업무 조율과 정보 공유를 위해 만든 인천지역 기관장 모임이었으나 현재 회원 중 민간기관 및 기업인 등이 절반에 가깝게 차지하고 있다.

인화회는 여러 측면에서 비판의 요소를 안고 있다. 지역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구성된 친목모임이라고는 하지만 회칙에서 가입의 조건을 까다롭게 명시해 진입 장벽을 높게 쌓고 있다. 지역 유지와 기관장, 기업체 대표만 가입할 수 있고 가입절차도 폐쇄적으로 운영위원회가 좌우하는 등 회원가입이 가히 ‘산 넘어 산’과 같아 ‘그들만의 리그’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회원의 구성과 활동 면에서도 ‘인맥을 활용한 청탁의 장’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그동안 그들만의 활발한 모임은 빠짐없이 개최했지만, 지역발전을 위한 과제의 도출이나 방향을 제시한 적은 거의 없고 기업의 이권을 위해 시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업계획을 도모하는 데 활용했다.

친목을 위한 사모임 단체인데 인천시장을 비롯한 공공기관의 대표가 민간 기업인과 친밀하게 모여 인천 시정의 주요 정보를 취합 보고하는 것은 그들만의 공동체로써 정경유착과 토착비리의 근원지로 의심받기 충분하다. 김영란법이 시행되고 촛불혁명이 정권을 탄생시킨 이 시대와는 거리가 먼 딴 나라의 모임으로 혁신이 필요한 인화회다. ‘탈권위’를 앞세우는 민선 7기 박남춘 인천시장이 회장으로 있기에 회장이 선도적으로 탈퇴를 선언하는 것이 그 첫걸음일 것이다.

친목단체인 사모임에 인천시장이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부시장 이하 직원을 동원해 모임의 운영을 지원하는 것은 그 어떤 법적 근거도 없을뿐더러 타당한 행정논리도 없다. 지금까지는 관행적으로 지원해온 것이라 치더라도 앞으로는 더 이상 반복되지 말아야 한다. 향후 관련공무원들이 이 모임의 활동에 관여하여 행정력을 낭비할 경우 철저히 그 책임을 추궁하여 잘못된 적폐를 바로 잡아야 한다.

인천에는 모범적인 시민단체와 건전한 인사들의 모임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새얼문화재단’과 ‘인천경영포럼’은 다양한 지역인사들이 참여하여 인천지역발전을 논의하는 공론의 장으로써 발전해 왔다. 이러한 모임을 통해서 충분히 시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친목을 도모하고 지역발전을 논의할 수 있다. 인화회 회원들도 폐쇄적인 모임을 과감히 해체하고 이러한 공개 장소로 나와 인천시민 모두와 함께하는 과감한 변화가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