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독도’ 총 6개의 큰 팩트를 기준으로, 독도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의 오랜 역사적 공방을 추적하는 책

▲ 팩트체크 독도

독도 분쟁은 지난 1952년 우리정부의 ‘평화선 선언’ 발표에 따른 일본 측의 항의로 시작돼 어느덧 66년에 이르렀다. 매년 독도를 주제로 한 저작물이 수백 편씩 나오고 있지만 분쟁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런 와중에 6개의 큰 팩트를 바탕으로 독도문제 관련 모든 오해를 거둬내고 문제 해법을 제시한 책이 출간돼 세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팩트체크 독도>(역사공간 刊)는 ▲독도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독도는 고문헌ㆍ고지도에 우산도로 표기됐다 ▲독도는 울릉도에 속한 섬이다 ▲일본은 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인정했다 ▲일본은 독도를 비밀리에 편입했다 ▲독도는 무주지가 아니었다 라는 6개 챕터에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으로 한ㆍ일 양국의 오랜 역사적 공방을 추적했다.

 

기존의 책들과 달리 이 책은 1905년 이후의 역사적 전개를 거의 다루지 않았다. 1905년 일본이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한 논리가 ‘무주지 선점론’ 인만큼 그 이전 독도가 무주지가 아니었음이 입증된다면 그 이후의 역사적 전개는 독도문제에 있어 큰 의미가 없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대신 1905년 이전 일본 측 사료와 국제법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팩트체크에 돌입했으며, ▲지금의 일본이 독도를 다케시마로 부르는 것과 달리 과거에는 울릉도를 다케시마로 불렀다는 점 ▲고문헌에 기록된 독도와 울릉도의 모습이 고지도의 제작 방식 차이로 다르게 묘사된 점 ▲1836년 일본의 에도 막부가 울릉도와 독도를 무단으로 침입한 자국민을 사형에 처한 점 ▲이외 태정관 지령 등으로 일본이 독도가 조선 영토라고 인정한 점 및 러일전쟁 중 비밀리에 독도를 편입한 점 등을 확인했다.

 

팩트체크 외에도 저자는 맺음말을 통해 “독도 수호 관련 국책ㆍ민간ㆍ시민단체의 역할이 중복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며 “독도문제 해결의 걸림돌 중 하나가 과도한 예산인 만큼 정책의 실효성 검증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교육 측면에서도 외교부ㆍ교육부ㆍ동북아역사재단 등의 교육용 교재에서 독도 표기가 다케시마, 죽도 등 천차만별인데다 초판과 개정판도 차이가 커 용어에 관한 혼란을 없애고 교육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고 개선이 필요함을 말했다.

 

한편, 저자는 이화여대에서 조선 후기 정치사상을 연구해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일본 도쿄대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수학했다. 지난 2006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독도연구센터에 입사하면서 독도 연구와 연을 맺었고, 현재는 지난 2011년부터 꾸준히 독도 관련 저서를 집필하고 한아문화연구소를 운영하는 등 열띤 활동을 펼치고 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