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경기도청·도의회 측백나무 현판

이강석.JPG
경기도청이 1967년 6월23일 서울 정부청사 건너편에서 현재의 이곳 수원 팔달산 중턱에 이사하여 자리한지 51년이 되었다. 1965년 당시에는 수원시도 작은 편이어서 도청사가 인천시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고 한다. 인천시로 갔다면 1981년 광역시 승격으로 행정구역이 분할되면서 또다시 경기도청은 타 지역 신세를 질 뻔 했다. 경기도청 ‘현판’은 박정희 대통령의 글씨다.

 

경기도의회 건물은 경기도청 서울청사 시절도 서울 종로구 세종로 76번지에 있었다. 지방의회가 다시 구성되면서 1991년 7월8일 수원시 권선구 인계동 1117번지 문화의전당 내에서 문을 열었다. 의회청사는 1993년 2월11일에 입주했다. 경기도의회 현판은 김영삼 대통령의 친필이다. ‘경기도의회’ 원본은 도의회 사료관에 보존 관리되고 있다.

 

김문수 도지사님이 취임하면서 도청 울타리 철조망을 걷어내고 정문의 철문도 철거하자 했다. 2009년 2월 어느 날 도청과 의회 정문과 후문의 철거현장에 나가서 경기도청과 경기도의회 현판을 회수했다. 자칫 철골 고물로 사라질 위기에서 구해내어 경기도의회와 경기도청 관련부서에 전달했다.

 

철거 이전에 문화재부서에 의견을 전했다. 정문의 2개 문패가 달린 대리석 구조물을 통째로 뽑아서 청내 녹지공간에 보존하자 했다. 그리고 광교청사 건립시에 도청과 의회 입구나 현관에 부조처럼 설치하자 했다. 중앙청의 맨 위 구조물이 독립기념관 반 지하 땅속에 이전된 것을 아는 이가 더러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힌트를 얻었다.

 

▲
하지만 당시 부서의 담당자 의견은 아직 42년(1968~2009) 밖에(?) 안된 구조물이어서 보존의 가치가 없다고 했다. 태어나서 곧바로 회갑을 맞는 이는 없다. 안타까웠다. 그래서 동판이라도 온전히 회수하자고 불쑥 나섰던 것이다.

 

10년이 지난 2018년 7월 어느 날 도청과 의회의 현판이 아직도 도청과 의회의 담당 부서에 보관중일 것이고 하루빨리 경기도와 도의회 청사 신축을 진행하는 부서에 이관했으면 하는 바램을 말했다. 경기일보 H기자는 즉시 취재를 하여 3시간 만에 답장 사진을 보내주었다. 경기도인재개발원 박물관에 보존되어 전시 중이었다. 가슴 뭉쿨하게 반가웠다.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사온 지 51년만에 서울청사를 외롭게 지켜온 측백나무를 서울시로부터 무상양여 받아 수원 광교역사박물관에 가이식 했다. 2020년 광교청사가 준공될 즈음 좋은 자리를 잡아 이식할 예정이란다. 경기도인재개발원에 보관된 ‘경기도청’, ‘경기도의회’ 동판도 훗날 광교청사 1층 도민들이 많이 오시는 곳에 멋지게 모셔주기를 바란다.

 

이강석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