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시민단체 ‘1호 제안’ “근대 건조물 보호 필요”
안소희 시의원 대표 발의 관련 조례 전국에 4곳 불과
경기도내 지자체에서는 처음으로 파주지역 시민단체들이 시민정책 1호로 제안(본보 4월5일 13면)했던 ‘파주시 미래유산 보존ㆍ관리 및 활용에 관한 조례 제정안’이 시의회에 접수돼 처리결과가 주목된다.
안소희 의원(3선ㆍ민중당)은 “파주지역내 19세기 개항기부터 6ㆍ25전쟁 전후 시기에 건립된 역사적, 건축사적, 예술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이나 시설물 등을 보호 및 보전하기 위한 미래유산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고 5일 밝혔다.
전체 4장 19조로 구성된 미래유산조례안 발의에는 민주당 박은주ㆍ목진혁 의원 등이 공동발의자로 나섰다.
주요 내용으로는 파주미래유산보존관리를 위해 시장의 책무(4조)를 규정했으며, 정책수립 및 추진을 위해 기본계획을 수립(5조)하도록 했다. 또 미래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을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고(7조), 시민 및 단체 등 누구나 파주 미래유산의 선정 대상을 시장에게 제안할 수 있도록 한 파주미래유산선정(14조)을 포함했다. 제19조에는 파주 미래유산의 선정, 인증서 및 표식 발급, 취소 등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은 규칙으로 정하도록 했다.
미래유산조례안은 지난해부터 안 의원, 박 의원과 파주시민참여연대, 현장사진연구소,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등이 참여해 그 틀을 만들었다.
이들은 파주미래유산으로 ▲1950~60년대 주한미군의 클럽문화 등이 남아 있는 파주용주골 건물과 골목길 ▲3ㆍ1운동의 발상지였던 탄현동사무소(기념비)와 교하초교(교하공립보통학교) ▲6ㆍ25전쟁 후 미군부대가 주둔하면서 1960년대 가수 조용필이 음악 활동을 시작했던 미군클럽 ‘라스트 찬스’와 미군이 세운 ‘재건중학교’ 등을 대상으로 보고 있다.
안 의원은 “파주지역 근현대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 및 활용함으로써 시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고 지역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늦었지만 꼭 필요한 조례다”며 “ 파주의 아픈 근현대사 상처가 유무형 형태로 남았는 만큼 지금이라도 잘 보존해 미래세대에게 유산으로 남겨 역사적 증표를 삼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에 근대 건조물 보호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지역은 부산광역시(2010년), 대전광역시(2011년), 창원시(2013년), 통영시(2016년) 등 모두 4곳에 불과하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