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미래의 학교교육 방향은 입시중심에서 학생 성장 중심, 경직되고 획일적인 교육에서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 수직적 서열화에서 수평적 다양화를 추구하는 교육과정 운영으로 변화해야 한다. 이에 교육부는 2018년 3월부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54개교, 선도학교 51개교를 운영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학생들이 교과를 선택하여 수업을 듣는 방식인 과목 선택제로 학점과 졸업을 연계하는 제도다. 학생은 스스로 선택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이수하는 학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선택에 대한 책임과 자기주도적인 자세, 내재된 잠재력을 키울 수 있다. 고교 학점제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대입제도 및 내신평가 방식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교과목 개설과 학생들의 자유로운 선택이 중요하다. 맞춤형 수업,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평가로 학습의 결과가 일정 성취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학년과 상관없이 자신의 흥미와 수준, 진로에 맞게 선택하여 학점을 이수하여 졸업하고 평생 직업과 연계될 수 있어야 한다.
이제 고교학점제는 먼 훗날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에 단위학교에서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학교구성원 간의 이해과정을 통해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모든 학생의 성과 학습 및 진로 설계 지원자, 교수학습 및 평가 전문가가 되어야 하며, 학생은 자율적 존재로서 본인의 진로 개척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어 가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자가 되어야 한다.
학부모는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제고와 교육과정 중심의 자녀교육을 실천해야 하며, 학교는 개설 과목 확대, 학생 참여형 수업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교실 및 학생들의 학교생활 지원을 위한 학습공간을 마련해주고 학교구성원이 협업할 수 있는 학교운영 문화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김재철 삼일상업고등학교 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