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북미중재 ‘등판’ 판가름… 남북 정상회담 가을 개최 ‘주목’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8월 말 평양에서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달과 다음 달 예정된 이산가족 상봉, 북한 창립기념일, 유엔 총회 등 대형 이벤트를 제외하고 시기를 좁혀보면 현실적으로 8월 말이나 9월초가 최선의 선택지가 아니냐는 것이 중론이다.

 

이번 고위급 회담은 우선 4·27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가을 평양 정상회담’의 이행 차원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남북회담 시기를 앞당기고자 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때문에 3차 남북 정상회담의 개최 시기와 장소, 형태 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에 따라 ‘한반도 운전자론’ 들고 나온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북미간 비핵화 협상에 다시금 ‘중재자’로서 등판할 지 여부가 결정된다.

 

남북은 13일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을 각각 단장으로 고위급회담을 열고, 3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문제 등을 논의한다.

 

당초 4·27 남북정상회담 결과물인 판문점선언을 통해 올가을 평양에서의 남북정상회담을 합의했지만, 북미간 협상이 교착된 현 상황에서 3차 남북정상회담은 단순한 남북정상회담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문 대통령은 고위급회담 논의 결과 등 한반도 상황을 주시하면서 한반도 비핵화와 종전선언 등의 구상을 보다 더 정교하게 다듬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내일 남북고위급회담에서 4·27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남북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그리고 방북단의 규모 등이 합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상회담의 장소(평양)와 관련, “(제3의 장소)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남북이 내일 논의하는 것이니 지켜봐달라는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3차 남북정상회담 추진과 관련, “남북회담이 북미회담을 촉진하고, 북미회담이 남북관계 발전을 앞당기는 회담이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