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 일대를 국내 마이스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한다. 도는 킨텍스 주변 210만여㎡를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했으며 개발부담금 완화 등의 혜택을 제공키로 했다.
27일 도에 따르면 도는 킨텍스 1ㆍ2전시장(12만㎡), 고양관광안내센터 및 앰블호텔 등 킨텍스 지원시설(123만㎡), 고양관광문화단지 일부(75㎡) 등 총 209만8천917㎡를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하기로 했다.
고양 국제회의 복합지구는 국제회의산업 집적을 통한 산업생태계 형성 및 지역 국제회의산업의 차별화와 특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를 통해 마이스 산업(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적 전시 산업)의 중심지로서 고양시 브랜드를 제고하고, 시장 확대 및 신규시장 개척 등의 목적을 달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앞서 도는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가 진행한 국제회의 복합지구 공모에 킨텍스 일대를 신청했으며, 이달 인천시 송도 일대, 광주시 김대중컨벤션센터와 함께 복합지구로 승인받았다. 지정 조건은 2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회의실과 옥내외 전시면적 2천㎡ 등 국제회의 시설 보유, 전년도 외국인 회의 참석자 5천 명 이상 등이다.
국제회의 복합지구에 따라 도는 국제회의 등 공식업무 이후의 남는 시간에 쇼핑, 공연, 관광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재방문률도 높아져 관광지로서 파급효과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개발부담금, 교통유발부담금, 대체산림조성비, 농지보전부담금, 용적률 완화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도 관계자는 “내년에 수원컨벤션센터가 완공되면 추후 지정요건에 맞춰 남부권역의 거점으로 수원컨벤션센터 일대를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신청할 계획”이라며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경기도 브랜드 마케팅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규태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