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한국 GM 신설법인 경영정상화 길인가?] 하. 정상화 해법은?
인천 한국GM 신설법인 경영정상화 길인가?

[한국 GM 신설법인 경영정상화 길인가?] 하. 정상화 해법은?

“지역사회 공론화… 상생의 길 찾아야”

한국지엠 연구분야 신설법인 계획이 첨예한 노사 대립으로 확산하고 있다. 올해 초 한국지엠 사태가 마무리된 지 불과 3개월만에 재현되는 노사 갈등에 인천지역사회는 불안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군산공장 폐쇄로 시작된 ‘한국지엠 철수설’ 여파로 남동국가산단 등 인천지역 1~3차 협력업체들은 물량 감소에 따른 심각한 경영 타격을 입었고 한국지엠 부평공장과 인접한 청천동 일대 상권이 급속히 침체했다. 이렇다 보니 한국지엠 연구분야 신설법인 현안이 지역사회에도 공론화돼 대책을 논의하는 ‘상생 행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9일 한국지엠과 인천경제계에 따르면 한국지엠 노조는 당초 올가을 예정된 체육대회 일정을 취소하고, 다음달 초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연구분야 신설법인 저지를 위한 집단행동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5월 경영 정상화에 간신히 합의한 지 불과 3개월만에 또다시 전운이 감도는 것이다.

 

인천경제계는 한국지엠 내 연구-생산분야 법인 분리 시도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기업의 합병이나 분할 등은 내부 영업문제다 보니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연구분야 법인 신설로 디자인·차량기술분야 로열티 지급 문제 등이 불거지면 한국지엠에 자동차부품 등을 납품하는 인천지역 협력업체 부담으로 되돌아올 수 있어, 한국지엠이 인천 경제계와 법인신설에 따른 파급 효과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인천상공회의소 산하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한국지엠의 핵심기능인 연구개발분야가 별도로 신설되면 올해 초 논란이 된 글로벌지엠의 이전가격문제 등이 재현될 우려가 있다”며 “인천지역 협력업체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공동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의 한 관계자도 “지난해부터 제기된 한국지엠 철수설을 인천지역사회 공동 노력으로 극복한 경험을 살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오는 10월 열리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지엠 신설법인문제를 공론화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특히 산업은행이 8천억원의 자금지원을 결정해 한국지엠 경영정상화의 실마리를 마련한 만큼, 국회 차원에서 공적자금이 투입된 한국지엠의 연구분야 법인 신설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봐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인 홍일표 의원(인천 미추홀갑)실 관계자는 “국감에서 한국지엠 신설법인 문제가 논의되면 인천지역 국회의원으로서 대안을 찾는데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